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석탑탑신사방불편

추천0 조회수 4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석탑탑신사방불편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탑은 부처의 사리를 안치하는 건조물로 솔도파‚ 수두파‚ 탑파라고도 한다. 원래는 부처의 사리를 넣기 위하여 돌이나 흙 등을 높게 쌓아올린 무덤을 말한다. 탑의 기원은 분명하지 않지만 분묘적인 성격이 있기 때문에 불교 이전부터 행해지고 있었던 것 같다. 그러나 불사리 탑으로서의 성격은 석존이 열반한 후 그 사리를 여덟 곳으로 나누어 탑을 쌓기 시작한 데에서 비롯되었으며‚ 2-3세기경에는 인도 아육왕이 팔만사천탑을 만들었다고 한다. 따라서 탑은 단순한 무덤이 아니라 부처의 사리를 안치하는 성스러운 구조물로서 불교의 전파와 함께 각 나라에 널리 세워졌으나 나라마다‚ 시대마다 그 의미나 양식이 변하게 되었다. 우리나라는 양질의 화강암이 많아 삼국시대 말인 600년경부터 석탑이 건립되기 시작하여 현존하는 탑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석탑의 전형은 통일신라시대에 완성되었다. 전형적인 탑은 2층의 기단부 위에 탑신부가 올라가는 것인데‚ 탑신부의 구성요소로 지붕돌인 옥개석과 옥개를 받치는 탑신석이 있고 옥개와 탑신이 한 층이 된다. 가장 높은 층 위에는 방형의 노반이 있고 그 위로 복발‚ 앙화‚ 보륜‚ 보개‚ 수연‚ 용차‚ 보주‚ 찰주로 구성되는 상륜부가 올라간다. 탑의 층수는 3‚ 5‚ 7‚ 9층으로 홀수로 만들어진다. 이것은 석탑의 탑신석으로 크기로 보아 탑의 상층부의 탑신석으로 추정된다. 이 탑신석은 각 면에 모두 불상이 표현되어 있는데‚ 이와 같이 4면에 불상이 새겨진 것을 사방불이라고 한다. 사방불은 백제시대에 제작된 예산의 사방불을 비롯하여 통일신라시대의 탑에 사방불이 나타난다. 우리나라의 사방불은 동쪽에 약사불‚ 서쪽에 아미타‚ 남쪽에 석가불. 북쪽에 미륵불이 새겨 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탑신석의 사방불은 각 모서리에 동자주를 새기고 불상은 탑신의 안쪽을 파서 감의 형태를 만들고 거기에 불상을 부조로 새겼다. 불상은 연화좌 위에 앉은 좌상으로 머리에는 육계가 표현되어 있고‚ 얼굴은 둥글고 이목구비는 마모로 인하여 뚜렷하지 않다. 통견으로 된 법의를 입고 있으며‚ 양감은 적은 편이다. 이 탑신 사방불편은 현재 2면만이 남아 있고‚ 같은 불상이 새겨져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