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다면옥

추천0 조회수 28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다면옥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쉼표(‚)를 확대한 것처럼 생겼으며‚ 머리 부분에 1개의 구멍이 뚫려 있어 어형(魚形)같이 보이지만‚ 원래는 동물의 이빨 모양에서 생겨난 형태라고 한다. 크기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간혹 8cm가 넘는 것도 있다. 거의 비취(翡翠) 제품이지만 마노(瑪瑙)·수정·유리·벽옥(碧?) 등으로 만든 것도 있다. 머리 부분의 구멍 외에 몇 줄의 선을 새기기도 하고 또 금은제(金銀製)의 장식을 씌운 것도 있다. 대개 목걸이에 거는 중심 구슬로 쓰였지만‚ 귀고리나 금관(金冠)에 달린 것도 있어 금관총(金冠塚)에서는 130개 이상이나 출토되었다. 한국에서 출토된 것의 특색은‚ 활색이 많이 섞여 그 빛깔이 백록반색(白綠斑色)이 많다는 것이다. 고분(古墳)에서 나온 곱은옥은 충남 공주시 금성동(錦城?)의 공주 송산리(宋山里) 고분군 제7호분과 제8호분에서 1개씩‚ 우금리(牛禁里) 제1호분에서 3개가 출토되었고‚ 무령왕릉(武寧?陵)에서는 특수한 것이 여러 개 출토되었는데‚ 탄화(炭化)된 나무 토막을 편평(扁平)한 원형으로 자르고 둘레를 금테로 돌려 그 금테에 서로 맞뚫리게 구멍이 뚫려 있다. 특히‚ 백제의 곱은옥에서 관심을 끄는 것은 딸린곱은옥[母子曲?]이다. 이것은 곱은옥의 표면에 더 작은 곱은옥 여러 개를 붙여서 만든 것이다. 이와 같은 곱은옥은 일본의 고분시대 유적에서 활석제(滑石製)가 많이 발견되어 일본의 특산물로 간주되었으나‚ 최근에 부여에서 활석곡옥 1개가 나왔고‚ 경남에서도 출토된 보고가 있어 한국에도 딸린곱은옥이 만들어졌음이 입증되었다. 한편‚ 함북 웅기(雄基)의 송평동(松坪?) 유적에서 천하석(?河石)으로 만든 2.2cm의 작은 곱은옥 2개가 나왔는데‚ 모두 머리 부분에 1개의 구멍이 뚫려 있어 삼국시대 곱은옥의 원형임을 시사해 준다. 또 충남 부여군 규암면(窺岩面)에서 경옥제(硬?製) 곱은옥조각이 발견되었고‚ 부여 근처의 돌널무덤[石棺墓]에서도 결형(?形) 곱은옥이 출토되었다. 이것은 중국 동만주(東滿?) 지린[吉林] 지방의 청동시대 석총(石塚)에서도 발견되어‚ 앞에서 든 고분기(古墳期)의 곱은옥은 선사시대의 곱은옥과 연결되는 것이라고 추정된다. 적색유리옥의 다면옥이다. 기본형태는 정팔각형이다. 중심에 투공이 된 것으로 보아 경식의 일부로 추정된다. 폭: 0.9㎝‚ 두께: 0.6㎝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