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청동병

추천0 조회수 2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청동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불교에서 공양의식(供養儀式)을 할 때 사용하는 병(甁). <유래 및 발달과정> 원래 인도의 브라만교에서 동물을 신에게 제물로 바치던 공희(供犧)에 대하여‚ 살생(殺生)을 금하는 불교에서 행한 제의형식(祭儀形式)으로‚ 몸에 기름을 바르고 향을 피우며‚ 꽃과 물 등을 바치고 등불을 켜던 원주민의 풍습을 본딴 것이라고 한다. 공양이란 말은 원래는 주로 신체적 행위를 뜻하는데‚ 나중에는 정신적인 것까지를 포함하여‚ 이를 신분공양(身分供養)과 심분공양(心分供養) 등으로 구별‚ 공양의 내용을 재(財)와 법(法)의 2종류로 분류하게 되었다. 그리고 공경공양‚ 찬탄공양‚ 예배공양이라고 하여 정신적 숭경(崇敬)의 태도까지를 포함하게 되었다. 이렇게 하여 공양물의 종류‚ 공양의 방법‚ 대칭(對稱)에 관한 여러 가지 분류가 행해져‚ 『십지경(十地經)』의 이양(利養:財)‚ 공경‚ 행(行)의 3종(種)공양‚ 『대일경의석(?日經義釋)』의 향화(香華)‚ 합장‚ 예경(禮敬)‚ 자비운심(慈?運心)의 4종 공양‚ 밀교(密敎)의 도향(塗香)‚ 화(華)‚ 분향‚ 음식‚ 등명(燈明)의 5종 공양‚ 그리고 『법화경(法華經)』의 화(華)‚ 향(香)‚ 영락(瓔?)‚ 말향(末香)‚ 도향(塗香)‚ 분향‚ 회개(繪蓋)‚ 당번(幢幡)‚ 의복‚ 기락(伎樂)의 10종 공양이 있다. 불(佛)‚ 법(法)‚ 승(僧)의 삼보(三寶)나 승려나 승단(僧團)에 재물을 베풀거나‚ 불탑 또는 불당 등을 세우거나 교단에 의복‚ 음식‚ 침구‚ 탕약을 시여(施與)하거나 탑‚ 묘(廟) 또는 불상을 만들거나 방사(房舍)나 토지를 시여하는 것 역시 공양의 일종이다. 또한 독경과 예불을 함으로써 숭경(崇敬)의 뜻을 나타내거나 사자(死者)의 명복을 비는 일도 포함된다. 죽은 사람을 위한 추선공양(追善供養)‚ 아귀(餓鬼)를 위한 시아귀공양(施餓鬼供養)‚ 경전(經典)의 개제공양(開題供養)‚ 불상이나 종을 새로 만들었을 때의 개안공양(開眼供養) 또는 종공양(鐘供養) 등이 있다. 또한 천승회(千僧會)나 아미타불의 내영(來迎)을 본떠 행하는 법회를 각각 천승공양(千僧供養)‚ 연공양(練供養)이라 하여 각종 불교행사도 공양이라 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청동으로 만들어진 병이다. 구연부(口緣部)가 나팔 모양으로 넓게 벌어지며 입술부분을 둥글게 처리하였다. 목과 어깨‚ 동체 아랫부분에 각각 두 줄씩의 돌대가 돌려져 있다. 굽은 좁은 폭에 비해 높게 세워져 있다. 표면은 산화되어 전체적으로 밝은 청록색을 띠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992. 김원룡 감수‚『한국미술문화의 이해』‚ 예경‚ 199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