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티베트 금동분노존상

추천0 조회수 77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티베트 금동분노존상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수호존(守護尊)‚ 호법존(護法尊) 중 분노한 형상(形象)으로 표현되는 불교(佛敎)의 신(神). <유래 및 발달과정> 주로 불교의 호법신(護法神)‚ 수호존(守護尊)으로 인도의 밀교경전에 등장하는 신들이다. 배우자인 여신을 포옹하고 있거나 금수(禽?)나 사람을 밟고 서 있으며‚ 대부분 분노의 형상이고‚ 눈은 부릅뜨고‚ 머리카락을 세웠으며‚ 이를 드러내며 포효하는 모습으로 표현된다. 여신과 함께 있는 경우는 남녀의 합일을 의미하는 음양상(陰陽像)으로 이른바 부모불(父母佛‚ yabyum)이라고도 한다. 이 부모불은 부처의 가장 고귀한 정신적 본질을 나타내며‚ 지혜와 자비가 하나 된 깨달음의 상태를 보여준다. 이 외에 인간의 약한 면을 제도하기 위해 불보살(佛菩薩)이 강력한 경고의 모습을 보이기도 하는데 이러한 예로 적색야마리(yamari)‚ 흑색야마리‚ 바즈라바이라바(vajrabhairava)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바즈라바이라는 `금강저를 들고 있는 자`라는 뜻으로 금강역사(金剛力士)라고 부른다. 또 다른 분노존으로 힌두교에서 유래하여 불교를 수호하는 마하칼라가 있다. 관세음보살이 사악한 중생을 제도할 때 나타나는 관음의 분노존(忿?尊)으로‚ 중국어로는 대흑천(?黑?)이라고 부른다. 마하칼라의 전형적 모습은 화난 얼굴에 검은 몸‚ 얼굴 하나‚ 눈 세 개‚ 양손에는 긴 칼과 피가 담긴 해골 잔을 가지고 있다. 관음과 관련이 있는 또 다른 분노존으로 마두존(馬頭尊)이 있다. 그 기원은 중국의 마두관음(馬頭觀音‚ hayagriva)과 같지만‚ 금강계 만다라에 있는 분노존이기 때문에 관음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몸체와 받침이 분리되는 상으로‚ 분노존의 형상에 용을 타고 있는 모습이다. 분노존은 방형(方形) 얼굴에 크게 뜬 눈‚ 낮고 뭉뚝한 코‚ 두꺼운 눈썹과 턱을 모두 덮은 수염 등 일반적인 분노존의 얼굴을 하고 있다. 귀는 길고 끝에 둥근 원형 귀걸이가 달려있다. 머리에는 화염(火焰)으로 장식된 보관(寶冠)을 쓰고 머리카락은 위로 향하고 있으며 붉게 칠해져 있다. 발이 땅에 닿지 않게 번쩍 들어올렸는데 발끝은 힘을 주고 있는 듯 발가락을 들어올려 긴장감 있게 표현하였다. 상체를 감싸고 있는 천의(?衣)는 바람에 휘날리듯 역동적으로 표현되었다. 가슴에는 영락과 천의가 교차되어 있다. 다리 사이에는 허리에서 나온 두 개의 끈이 있다. 분노존을 태운 용은 머리를 뒤로 돌려 분노존을 바라보고 있는 듯하며 꼬리는 하늘로 치켜세웠다. 둥글고 얇은 대좌는 장식이 없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992. 월간미술 엮음‚『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1998. 현장스님‚『티벳의 밀교미술』‚ 대원사 티벳박물관‚ 200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