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티베트 유등과 등잔대

추천0 조회수 3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티베트 유등과 등잔대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어두운 곳을 밝히기 위하여 불을 켜는 데 필요한 도구. <유래 및 발달과정> 기본적인 구조는 기름을 넣는 등잔‚ 등잔을 떠받치는 등경(燈豈)‚ 등잔바탕으로 되어 있다. 용도에 따라 여러 명칭으로 불리는데‚ 초를 꽂는 촛대‚ 들고 다니는 제등(提燈)‚ 걸어놓는 괘등(掛燈)‚ 실내에 놓는 좌등(坐燈)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이들의 명칭과 형태는 다르지만 기름불이나 촛불을 이용하도록 만든 구조는 공통된다. 사용된 재료에 따라서 토기‚ 도기‚ 옥석제(?石製)로 나누어지며‚ 형태별로는 종지형‚ 호형(壺形)‚ 탕기형(湯器形)이 있다. 등잔은 재료에 따라 목제‚ 토제‚ 대리석‚ 백자‚ 놋‚ 철제 등잔이 있다. 여기에 한지‚ 솜‚ 노끈‚ 삼실〔麻絲〕 따위로 심지를 만들어 기름이 흡수되도록 한 다음 이 심지에 불을 켠다. 심지에 사용되는 기름은 식물성 기름과 어유(魚油)‚ 경유(鯨油) 등의 동물성 기름을 사용하며‚ 제사 때에는 주로 식물성 기름을 애용하였다. 등잔을 적당한 높이에 얹도록 한 등대(燈臺)로서 흔히 등경 걸이 라고도 한다. 등가의 밑바탕을 등잔바탕‚ 등판이라고 하는데 원형‚ 사각형‚ 육각형‚ 팔각형 등 모양이 다양하다. 한쪽에 기둥을 세우고‚ 상단부 한 곳에 등잔걸이를 건다. 기둥에는 적당한 간격으로 톱니형 계단을 만들어 필요에 따라 등잔걸이의 높낮이를 조정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기름을 담아 불을 켜던 주전자형태의 등(燈)과 등잔대(燈盞臺)이다. 주전자형의 유등(油燈)은 뚜껑과 주두‚ 받침 테두리를 금색 띠로 둘러서 장식성과 통일성을 주었다. 뚜껑 손잡이는 보주형(寶?形)으로 밑에는 연꽃받침이 양각(陽刻)되어 있고 주두는 정병(?甁)처럼 길게 위로 쭉 올라와 있다. 주전자 밑굽이 오목하게 들어가 등잔대에 꼽게 되어 있다. 등잔대는 대나무 마디처럼 마디가 있고‚ 밑 부분의 장식 띠가 결실되어있다. 둘레에 장식 띠나 받침을 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992. 월간미술 엮음‚『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1998. 현장스님‚『티벳의 밀교미술』‚ 대원사 티벳박물관‚ 200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