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티베트 은제불단장엄구

추천0 조회수 3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티베트 은제불단장엄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불단(佛壇)을 장식(裝飾)하는 금속제(金屬製)의 장엄구(莊嚴具). <유래 및 발달과정> 사찰의 법당 내부의 중앙에 안치하며‚ 나무‚ 금속 또는 돌로 수미산(須彌山) 형태의 단을 만들고 그 위에 불상을 안치하는 대좌를 불단(佛壇) 이라 한다. 수미산 형태의 대(臺) 위에 불상을 안치하는 것은 예로부터 인도에서 행해졌으며‚ 이 같은 수법이 중국‚ 우리나라 등 북방불교(北方佛敎)에까지 유행했다. 수미산의 정상에는 도리천궁(克利?宮)이 있으며‚ 불좌(佛座)를 수미좌로 만드는 것은 석가모니의 위모설법(爲母說法)에서 유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불상의 기원설화와도 관계가 있다. 어느 해 여름 석가모니가 어머니를 위하여 도리천에 올라가서 설법하느라 자리를 비워 이를 계기로 불상이 제작되었고 수미산을 불좌로 사용하기에 이른 것으로 짐작된다. 대체로 4각 또는 8각형으로 만들며‚ 우리나라에서는 8각형의 수미좌가 보편적이다. 6각형은 육바라밀(六波羅蜜)‚ 8각형은 팔정도(八正道)를 의미하며 정사각형의 사각은 동서남북을 상징하며 이들은 대부분 넓은 수미단 위에 놓이는 것이 원칙이다. 보통 수미단은 하대와 중대‚ 상대의 구분이 있으며‚ 이들 단은 중대부분이 좁아지고 하대와 상대는 층급을 지닌다. 원칙적으로는 상하에 16단의 소단(小段)을 지니도록 되어 있다. 이는 밀교에서 말하는 일체중생이 본래부터 갖추고 있는 대보리심(?菩提心)을 표시하는 것이라 한다. 또는 위로 향한 16단은 혜문(慧門)의 16대보살(?菩薩)을‚ 아래로 향한 16단은 정문(定門)의 16대보살을 표시하는 것이며 법계체성지(法界體?智)를 합하여 모든 금강계(金剛界) 37존(尊)을 표시하는 것이라 하였다. 그러나 현존 유품은 상하대에 연꽃무늬 등을 복련(覆蓮)과 앙련(仰蓮)의 형식으로 배치한다. 또 중대부분에는 초화문(草花文) 등으로 화려하게 장엄하면서‚ 사슴 등의 길상수(吉祥?)를 그림이나 조각으로 배치한다. 때로는 격자문을 배치하고 연꽃문양을 놓기도 하고‚ 또는 물결문‚ 칠보문 등으로 장엄하기도 한다. 단상에 비로소 불상좌대(佛像座臺)인 수미좌를 설치하여 불상을 봉안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불단(佛壇)에 바치는 공양물(供養物)로서 장식판(裝飾板)이 연화대좌(蓮花臺座) 위에 꽂혀있어 세울 수 있게 되어 있다. 판(板)의 앞면에 다른 장식 판을 못으로 밖아 만든 것이다. 뒷면에는 조각이 되어 있지 않으며 앞에서 다른 판을 밖은 못 자국이 보이고 연화대좌(蓮花臺座)의 꽂는 부분에 또 다른 동판(銅版)을 덧댄 자국이 보인다. 공양물 중 하나는 앞면에 화병(花甁)에서 연꽃이 피어나 판을 가득 메우고 있는 모습을 조각하였다. 꽃심에는 홍옥(紅?)을 감입하여 장식했다. 또 다른 하나는 전각(殿閣) 안에 보주(寶?)를 모시고 있으며‚ 그 앞에 연꽃이 피어나는 모습을 조각하였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992. 월간미술 엮음‚『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1998. 현장스님‚『티벳의 밀교미술』‚ 대원사 티벳박물관‚ 200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