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티베트 나팔

추천0 조회수 242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티베트 나팔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입으로 불어서 소리를 내는 관악기의 일종. <유래 및 발달과정> 관악기의 하나로 어원은 산스크리트의 `rappa`에서 온 것으로 이는 입을 크게 벌린다는 뜻이 있으며‚ 중국에서 나팔(喇叭)이라고 번역되었다. 인도의 나팔은 원래가 트럼펫 계통의 금관악기였는데 중국에서는 전면이 나팔꽃 모양으로 벌어진 복황관악기(複簧管樂器) 소나(인도의 사나이)만을 나팔이라고 하였다. 쇠붙이로 긴 대롱같이 만들되 115㎝ 정도의 길이에 취구(吹口) 쪽은 가늘고‚ 끝 부분으로 가면서 차차 굵어지며 맨 끝은 나팔꽃모양으로 퍼지게 만든다. 두 도막 또는 세 도막으로 구분된 관(管)을 불지 않을 때에는 아래로 밀어 넣어 짧게 꽂아두기도 한다. 지공(指孔)이 없어 단음(單音)의 배음(倍音)에 해당되는 간단한 몇 가지 소리가 나기는 하지만‚ 보통 낮은 음 하나만을 길게 뻗어낸다. 금속성의 우렁차고 호쾌한 음색을 가지고 있는 악기로서 취구에 댄 입술로 음의 강약과 고저를 조절한다. 꺄링(galing)은 ‘인도관(indian pipe)’이라는 뜻으로 소리가 웅장하고 멀리 퍼지는 둥가르(dungkar)보다 작은 악기인데 티베트 불교의 기본 악기로 흔히 불교의식(佛敎儀式)이나 민속 축제 때 사용된다. 주로 나무와 동(銅)으로 제작되는데 당초문양이 양각(陽刻)되기도 하며 홍옥(紅?)‚ 청옥(靑?)‚ 비취(翡翠) 등의 보석이 여러 개 박혀 있다. 구멍은 앞에 일곱 개 뒤에 하나가 있다. 관의 취구에 붙인 것은 기명악기의 발음체로 악기에 부착시키는 대‚ 나무‚ 금속 등으로 만든 황관(簧管: reed)이 있어 음색을 조절한다. 음색은 높고 날카로워 소리가 멀리까지 퍼져 나간다. 꺄링의 선율은 3-4마리로 짧으며 이 선율에 이름이나 번호가 있어 의식이 진행되는 동안에 지휘자의 필요에 따라 음악의 이름이나 번호를 부른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이 나팔은 대개 한 쌍으로 연주한다. 취구(吹口) 부분은 굉장히 좁고 금동구슬과 금동원판으로 장식되어 있다. 나팔 중의 하나가 입구부분의 금동 구슬과 원판이 소실되었다. 악기의 관대(管帶)는 구멍이 뚫려 나무로 되어있고 대나무처럼 마디마디가 홍옥(紅?)이 감입(嵌入)된 금색 띠를 둘러 장식하였다. 나팔부분에는 바깥에 연꽃잎 모양의 금속판(金屬板)이 얇게 붙여져 장식되었다. 아래에는 나팔이 붙어 있는데 나팔의 안쪽 부분은 붉은색이 칠해져 있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992. 월간미술 엮음‚『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1998. 현장스님‚『티벳의 밀교미술』‚ 대원사 티벳박물관‚ 2005. 김규현‚『티베트 문화산책』‚ 정신세계사‚ 200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