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석등

추천0 조회수 1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석등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돌로 만든 등기(燈器). <발달과정/역사> 석등(石燈)은 돌로 만든 조명 시설로서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불을 점화시키는 부분인 화사석(火舍石)과 그것을 덮어주는 지붕‚ 그리고 지붕과 화사석을 지탱시켜 주는 대좌부(臺座部)로 이루어져 있다. 주로 절이나 능묘와 같은 곳에서 볼 수 있는 석등은 빛을 밝혀 진리를 찾는다는 불교적 성격과 죽은 자의 명복을 구한다는 유교적 성격에 의해 조성되어 왔다. 불교적 성격의 석등은 건축의 한 부속으로서 옥외의 일정한 곳에 설치되어 종교의식의 용구로 사용되어 왔다. 능묘 앞에 두는 것을 장명등(長明燈)이라 하며‚ 석등류는 통틀어 석등롱(石燈籠)이라고도 한다. 한국 석등의 기원에 관하여 지금까지 조사된 바로는 석등의 유구(遺構)가 발견된 곳은 주로 불사(佛寺)와 능묘 및 그 유적지이며‚ 그 밖에 궁궐이나 택지(宅地)의 유적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그리고 석등의 조성 연대는 능묘에서 발견된 석등보다는 대체로 불사와 그 유적지에서 발견된 것들이 양식상 앞선 시기에 속하는 것으로 짐작된다. 이것은 불교 전래 이전의 능묘에서는 석등구(石燈具)가 존재하지 않았음을 의미하는 동시에 석등이 불교에서 기원하였음을 보여준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하대석(下臺石)은 조각이 있었으나 마모가 심해 알아보기 어렵다. 중대석(中臺石)은 사각기둥의 네모서리를 깎아 팔각으로 처리했다. 상대석(上臺石)은 칠각형(七角形)이다. 화사석(火舍石)과 옥개석(屋蓋石)은 유실되고 하대석‚ 중대석‚ 상대석만 남아있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992. 김원룡 감수‚『한국미술문화의 이해』‚ 예경‚ 199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