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당간지주기단

추천0 조회수 36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당간지주기단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사찰(寺刹)을 표시하는 깃발을 거는 막대기를 받치기 위한 돌기둥의 기단부(基壇剖). <유래 및 발달과정> 찰간지주(刹竿支柱)라고도 하며‚ 깃발을 거는 막대라는 의미의 당간(幢竿)과 이 당간을 세우는 기둥을 합쳐서 부르는 말이다. 대체적으로 형태는 두 기둥을 60-100cm 정도 간격을 두고 양쪽에 세운 것이며‚ 서로 마주보고 있는 면이 평평하고 수직인데 반하여 뒷면은 위로 올라갈수록 가늘고 둥글며 옆에는 당간을 떠받치기 위해서 2개의 구멍이 뚫려 있다. 그 아랫부분에는 당간을 세우는 간대(竿臺)와 기단(基壇)이 마련되어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당간은 석재(石材) 또는 철제(鐵製)로 만든 것이나 대개 목재(木材)를 많이 사용했을 것으로 짐작한다. 이러한 재료상의 이유로 부석사당간지주를 비롯하여 숙수사지‚ 금산사‚ 중초사지의 당간지주 등 주로 당간을 세웠던 통일신라시대의 석재 지주만 남아있으며 드물게 갑사와 용두사지에 철제로 된 고려시대의 당간이 전해지고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세로너비 25cm 가로너비 20cm 정도의 테두리만 남기고 31cm 정도로 파내어 당간지주를 끼울 수 있게 하였다. 직육면체에 단조로운 음각선(陰刻線)으로 처리되어 있다. 보수한 흔적이 2군데 있으나 비교적 보존 상태는 양호한 편이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992. 김원룡 감수‚『한국미술문화의 이해』‚ 예경‚ 199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