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사리탑

추천0 조회수 1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사리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승려의 사리(舍利)나 유골(遺骨)을 안치(安置)한 탑형(塔形)의 석조건축물(石造建築物). <유래 및 발달과정> 묘탑(墓塔)‚ 부두(?頭)‚ 포도(蒲圖)‚ 불도(佛圖) 등이라고도 한다. 처음에는 불사이나 불교사원‚ 불탑을 의미했지만 뒤에는 고승(高僧)들의 사리를 담는 석조탑(石造塔)을 가리키게 되었다. 중국에서는 불교가 전래된 후한시대부터 사용하기 시작한 말이며‚ 우리나라에서 부도라는 용어로 승려의 사리탑을 가리키는 실례는 신라 하대부터 보이고 있다. 872년에 건립된 대안사적인선사조륜청정탑비(?安寺寂忍禪師照輪??塔碑)의 비문 중에 ‘기석부도지지(起石?屠之地)’ 라는 구절은 승려의 묘탑이 곧 부도라고 일컬어지고 있었음을 말해 준다. 부도가 세워진 시기는 『삼국유사』 권 4 및 권 5에 7세기 전반인 신라 진평왕 때 원광법사의 부도와 백제시대에 혜원의 부도를 각각 세웠다고 기록되어 있어 늦어도 삼국시대 말에는 부도가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중국 당나라로부터 선종이 들어온 9세기 이후에 각 구산선문(九山禪門)에서 사자상승(師資相承)으로 법맥이 이어지면서 불상숭배보다는 조사들의 사리와 유골을 담은 묘탑이 중요한 예배대상으로 되어 많은 부도가 건립되었다. 선문의 제자들은 각기 소속 종파가 확정되면서 그들의 조사(祖師)를 숭앙하여 평상시에 그가 설법한 내용이나 교훈 등을 어록(語錄)으로서 남기고‚ 입적 뒤에 선사를 추앙하기 위하여 당연히 후세에 길이 보존될 장골처(藏骨處)를 남기려고 하였다. 그러므로 이러한 시기에 등장하게 된 것이 바로 부도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 부도의 기점을 이루고 있는 전흥법사염거화상탑은 8각형을 기본으로 하여 상대석(上臺石)‚ 중대석(中臺石)‚ 하대석(下臺石) 등의 기단부는 물론이고 그 위에 놓이는 탑신굄대‚ 탑신부(塔身部)‚ 옥개석(屋蓋石)‚ 상륜부(相輪部)까지 모두 8각으로 조성되어 있어 전체적인 평면이 8각이다. 이러한 형식의 부도를 이른바 팔각원당형(八角圓堂形)이라 일컫고 있으며‚ 이후 신라시대에 건립된 부도는 모두 이러한 형태를 기본으로 삼고 있다. 그러나 고려시대 이후에는 법천사지광국사현묘탑(法泉寺智光國師??塔‚ 국보 제59호)과 같이 평면이 4각으로 변하여 일반 석탑과 같은 형태의 부도가 나타나기도 하고‚ 범종 모양과 비슷한 형태의 석종형부도(石鐘形?屠)가 나타나 8각원당형과 함께 발전되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기단(基壇)부와 탑신(塔身)부와 상륜(相輪)부로 이루어져 있다. 원형의 연화(蓮花)기단 위에 석종(石鐘)형 탑신이 오며 정상에 연화보주(寶?)가 놓였다. 연화보주는 1/3 정도가 떨어져 나갔다. 탑신부에 명문(銘文)이 있어 퇴은당 최일선사(退隱堂 最一?師)의 부도임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992. 김원룡 감수‚『한국미술문화의 이해』‚ 예경‚ 199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