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팔상도

추천0 조회수 129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팔상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불교에서 그 개조(開祖)인 석가모니의 일생을 8단계로 나누어 극적인 장면을 그린 불화(佛畵). <유래 및 발달과정> 사찰의 팔상전(八相殿‚ 捌相殿)이나 영산전(靈山殿)에 많이 봉안된다. 인도에서는 탄생(誕生)-항마성도(降魔成道)-초전법륜(初轉法輪)-대신변(?神變)-종도리천강하(從?利?降下)-취상조복(醉象調伏)-원후봉밀(???蜜)-열반(涕槃) 등의 8상이 알려졌으며‚ 중국에서는 항도솔(降兜?)-입태(入胎)-주태(住胎)-출태(出胎)-출가(出家)-항마(降魔)-성도-전법륜-열반 등으로 확립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1447년의 『석보상절서』 에서 팔상을 도솔래의-비람강생-사문유관-유성출가-설산수도-수하항마-녹원전법-쌍림열반이라고 밝힌 이후 모든 팔상도가 이 같은 화제(畵題) 하에 제작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보통 8폭을 각각 그려서 봉안하거나 2개씩 한 폭에 묶어 4폭으로 구성하기도 한다. 도솔내의상에서는 네 장면이 전개된다. 팔상도에는 화폭의 각 장면마다 내용의 제목을 적어 놓아 그림을 쉽게 이해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 일본에서 열반을 묘사한 탱화를 많이 봉안하는 데 비하여‚ 우리나라에서는 부처님의 전 생애를 모두 묘사하고 있는 것도 특징 중의 하나이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부처님 일대기인 8장면으로 그린 그림을 팔상도라 하는데‚ 이 팔상도는 8장면이 아니라 28장면으로 구획한 것이 특이하다. 즉 팔상의 각 장면을 3-4구획으로 더 세분하여 그린 것으로‚ 탁태영몽(托胎靈?)에서부터 열반 장면까지를 세분해서 구획하고 각기 윗부분에 명칭을 쓴 것이다. 그러나 명칭이 기록되어 있던 부분은 거의 마멸되고 약간만 남아있다.????마녀(魔女)????????열반(涕槃)????등의 화재가 간혹 보이고 있어서 원래는 각 장면의 명칭이 모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불상이나 기타 상들의 형태는 소박한 특징도 보이지만 각 장면이 연결되게 그려져‚ 내용이 서로 이어지고 있어서 흥미를 끌고 있다. 이 그림은 붉은색이 주조색이며‚ 감색과 녹색이 간혹 섞여있는데 붉은색은 부드러운 적색(赤色)을 띄고 있어서 화면이 전체적으로 밝고 은은한 분위기를 나타내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992. 김원룡 감수‚『한국미술문화의 이해』‚ 예경‚ 199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