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목조불좌상

추천0 조회수 1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목조불좌상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1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석가모니를 지칭하는 말이며 모든 법의 진리를 깨달아 중생(衆生)을 교화(敎化)하는 성자(聖者)를 의미하는 불(佛)을 표현한 상(像). <유래 및 발달과정> 엄격한 의미로는 부처의 존상만을 의미하지만 넓은 의미에서는 부처의 상은 물론 보살상(菩薩像)‚ 천왕상(??像)‚ 명왕상(明?像)‚ 나한상(羅漢像) 등을 모두 포함한다. 불상은 대부분 대좌(臺座) 위에 놓이며 상 뒤에는 광배(光背)가 있다. 불상은 인간의 형체를 빌려서 표현하지만‚ 그 부처가 상징하는 여러 초인간적인 성격이 신체적인 특징으로 나타나며 크게는 32상(三十二相) 80종호(八十種?)의 특징이 있어 보통의 인간의 표현과 구별이 된다고 한다. 부처의 법의는 대개 두 어깨를 덮는 통견(通肩) 형식과 한쪽만을 덮는 편단우견(偏袒右肩) 형식으로 구분된다. 자세‚ 손의 모습(手印)‚ 지물에 따라서도 그 불상의 성격을 알 수 있다. 불상이 처음 조성된 시기는 1세기경인 인도의 쿠샨 왕조(Kushan?朝) 시대였다. 그 이전 수 세기 동안에는 부처의 전생의 선행을 이야기한 본생담(本生譚) 등 여러 가지 상징적인 형태로 표현되어 숭앙되었으며 이러한 단계를 무불상(無佛像) 표현 시대라고 한다. 인도의 불상은 굽타(Gupta) 시대에 이르러서 가장 이상적인 형태의 불상 표현이 이루어졌다. 12세기 이후에는 인도에서 불교문화가 거의 자취를 감춘 대신 남으로는 해로(涇路)로 실론과 동남아 지역으로 퍼져 갔다. 북으로는 육로로 서역을 거쳐 중국으로 동전(東傳)하면서 발전하였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하나의 나무를 조각해서 만든 불상이다. 나발(螺髮)은 음각선으로 표현하였으며 육계(肉?)가 있다. 방형(方形)의 얼굴에 작은 이목구비(耳目口鼻)와 백호(白毫)를 가지고 있다. 대의(?衣)는 통견(通肩)이며 U자형의 옷 주름이 가슴부분까지 좁은 간격을 이루며 내려온다. 손이 옷 속에 들어가 있고‚ 안에서 양손을 모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손 주변의 옷 주름은 다른 옷 주름과 달리 두께감이 있게 표현되었다. 대좌(臺座)는 원래 나무의 일부분을 파내어 표현하였다. 조각상에 나뭇결과 재질의 느낌이 자연스럽게 드러난 작품이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992. 김원룡 감수‚『한국미술문화의 이해』‚ 예경‚ 199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