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깃발꽂이

추천0 조회수 105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깃발꽂이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2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부처의 위엄을 나타내기 위해 불전이나 법당 앞에 걸어두던 번(幡)이나 기(旗)를 걸었던 깃대[旗竿(기간)]를 지탱하는 가구(家具). <유래 및 발달과정> 기(旗)는 국가나 군대‚ 그 밖의 여러 단체나 시설‚ 혹은 선박(船舶) 등의 표장(標章)으로 사용되는 특별한 천으로‚ 일반적으로 정해진 형태‚ 도안(圖案)‚ 색채를 가지고 있는 것을 가리킨다. 보통 장방형으로‚ 그 한쪽을 깃대 등의 막대에 매달아 높이 들어올리거나 벽면 같은 곳에 붙여서 걸치기도 한다. 기는 원래 종교의식에서 위의(威儀)를 갖추거나 전쟁에서 아군과 적군의 식별‚ 부대 편성 등 주로 의례와 군사적인 목적에 쓰였으나‚ 지금은 그런 목적 외에 신호‚ 장식‚ 축제‚ 행렬 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기를 매다는 막대를 깃대〔旗竿(기간)〕라 하나‚ 군대에서는 창끝에 기를 달기도 하며‚ 그 창을 기창(旗槍)이라고 하였다. 오늘날 교기(校旗)나 단체기(團體旗) 등의 깃대 끝을 창 끝 모양으로 하는 것은 옛날의 기창에서 비롯된 풍습이다. 깃대의 끝에 달아서 위의를 나타내는 부분을 깃봉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의 깃봉은 원래 불교계통의 영향인 듯 끝으로 갈수록 점점 붉어지는 연꽃 모양을 많이 썼다. 시련 의식에는 여러 깃발들이 사용되어 의례를 장엄하는데 의식을 행할 때 깃대를 걸어놓을 수 있는 것으로 만든 것이 깃발꽂이이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세 개의 깃대를 꽂을 수 있는 깃발꽂이이다. 두 개의 기둥 사이에 깃대를 꽂는 부재(部材)를 위아래로 끼웠다. 두 단의 부재에는 각각 세 개씩의 구멍을 뚫고 윗면과 옆면에 모두 화문(花紋)을 간략하게 그렸다. 양 기둥의 상단은 연봉우리 형태로 깎아 장식하였으며‚ 중하부에는 얇은 운판(雲版)을 끼우고 녹색으로 채색하였다. 기둥을 지탱하는 하단 부재의 양 귀 부분은 둥글게 처리하였다. 받침 부분은 양쪽 모두 바탕을 청색으로 칠하고 각각 연꽃과 모란을 세 송이씩 그려 화려하게 장식하였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992. 김원룡 감수‚『한국미술문화의 이해』‚ 예경‚ 199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