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불연

추천0 조회수 4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불연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2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호법성중(護法聖衆)이 타는 가마. <유래 및 발달과정> 연(輦)은 속세에서는 임금이 주로 탔으며 일반인들에게는 혼례와 장례 때만 예외적으로 허용하였다. 그러므로 가마를 사용한다는 것 자체에 의미를 부여하였다. 불교의 시련(侍輦)의식에서 사용되는 시련이란 해탈문(解脫門) 밖에서 불법과 도량을 수호하는 호법성중(護法聖衆)을 모시는 의식이다. 상단시련과 중단시련‚ 하단시련이 있었으나 지금은 주로 하단 시련만이 행해지고 있다. 가마의 형태는 임금이 사용하던 것과 유사하며 전체적으로 조그만 집 모양이다. 안에 사람이 앉을 수 있는 공간이 있고 앞뒤에서 네 사람이 가마채를 손에 들거나 끈으로 매어서 운반하게 되어 있다. 가마뚜껑은 둥글고 장식적이며 좌우와 앞에 구슬을 꿰어 꾸민 주렴이나 끝을 삼각형으로 모아 장식한 차면(遮面)을 달아 장엄하기도 한다. 불연은 호법성중을 받들기 위해 봉황‚ 용‚ 연화 등으로 아름답게 꾸며‚ 불좌(佛座)를 장엄하기 위한 닫집과도 의미가 상통한다고 하겠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불연은 4-5살 정도 어린아이가 앉을 수 있을 만한 공간을 만들고‚ 앞뒤에서 네 사람이 가마채를 손으로 들거나 끈으로 매어서 운반하게 되어 있다. 꼭대기에는 금속으로 만든 연봉 오리와 연잎 장식을 끼우고‚ 네 면으로 구획한 지붕의 모서리는 금속 띠를 대어 투각된 화문(花文)으로 장식하였다. 집 전체를 화려한 색채의 연화문(蓮花文)‚ 초화문(草花文)‚ 기하문(幾何文)으로 단청하였다. 천장에는 5개의 연봉오리가 길게 드리워져 있으며‚ 처마도 연봉오리 형태로 처리하였다. 네 면에 구슬을 꿰어 만든 발인 주렴(?簾)을 두르고‚ 각각의 모서리에는 종(鍾)이 달린 봉황 장식을 끼웠다. 가마채의 끝은 용의 형상으로 깎아 장식하였다. 본래 연에 달아 왕을 밖에서 들여다보지 못하도록 하면서‚ 화려하게 장식하는 역할을 하였다. 위아래에 고리가 달린 나무 막대를 달아 차면을 말아 올릴 수 있도록 하였다. 앞면은 주황색‚ 뒷면은 검정색 비단으로 만들어‚ 말았을 때 강한 색채 대비를 이룬다. 막대 표면은 주칠(朱漆)하였으며‚ 양끝부분은 연봉(連峰)형태로 장식하였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992. 김원룡 감수‚『한국미술문화의 이해』‚ 예경‚ 199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