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토제치성광불좌상

추천0 조회수 42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토제치성광불좌상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2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칠성신앙(七星信仰)의 주존(主尊)인 치성광불(熾盛光佛)을 표현한 상(像). <유래 및 발달과정> 북두칠성은 예부터 인간에게 가장 친숙한 별이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민간신앙과 도교에서 일찍부터 칠성신앙이 발전하였다. 장군총‚ 삼실총‚ 무용총‚ 사신총 등 고구려 벽화고분에 북두칠성이 표현된 것을 비롯하여 신라와 백제에서도 일월성신(日月星辰)에 대한 신앙이 있었다. 또한 고려시대에서는 북두칠성을 제사지내는 도교의 초제(醮祭)가 활발하게 개설되었으며 조선시대에는 소격서에서 북두칠성에 제사를 지내기도 했다. 한편 불교에서는 칠성을 불(佛)로 의인화하여 신앙하였는데 북극성을 여래화한 치성광불은 북두칠성과 함께 재앙을 물리치고 질병을 다스리며 득남을 기원하는 신앙의 대상이 되었다. 치성광불의 도상적인 특징은 정식 이름인 금륜불정치성광불(金輪佛頂熾盛光佛)를 통해 알 수 있으며 보통 왼손을 무릎 위에 올려놓고 손바닥에 금륜(金輪) 이나 약합(藥盒)을 올려놓고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금륜을 쥐고 있는 이 상(像)은 석조상으로 1899년에 제작되었다고 전해진다. 칠성의 주불인 치성광불(熾盛光佛)로 둥근 얼굴에는 이목구비가 작게 표현되었으며‚ 육계가 낮다. 우견편단의 착의법(着衣法)을 보여주며 금륜을 든 왼손이 유난히 큼직하다. 현재 석고가 두껍게 칠해져 있어 초기에 제작된 모습을 추정하기가 어렵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992. 김원룡 감수‚『한국미술문화의 이해』‚ 예경‚ 199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