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신중도

추천0 조회수 80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신중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2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부처의 정법(正法)을 수호(守護)하는 신들을 묘사한 불화(佛畵). <유래 및 발달과정> 신중은 원래 인도의 재래신(在來神)들이 부처의 자비심에 감동되어 불교에 귀의한 후 불법의 유통과 옹호를 맹세한 성중(聖衆)을 말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불교의 수용과 함께 신중신앙이 전래되었는데 예로부터 범천‚ 제석천‚ 인왕‚ 사천왕‚ 팔부중‚ 12지신 등이 주로 신앙되어 조각과 회화 등으로 많이 조성되었으며 고려시대부터는 주로 불전‚ 탑‚ 부도 등 불‚ 보살이나 사리 등을 봉안하는 미술품의 외호상(?護像)으로 조형된 것이 많다. 조선시대의 경우 대중전‚ 극락전을 비롯한 모든 불전에 봉안되는 필수적인 불화로써 불전(佛殿)의 내부를 향하여 오른쪽 또는 왼쪽으로 모셔진다. 신중탱화는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는데 첫째는 대예적금강신(?穢蹟金剛神)을 중심으로 왼쪽에 제석천(帝釋?)‚ 오른쪽에 대범천(?梵?)‚ 아래쪽에 동진보살(童眞菩薩)을 도설(圖說)하고 주위에 성군(星君)‚ 명왕(明?)‚ 천녀(?女) 등을 묘사한 불화이고‚ 둘째는 제석천과 대범천‚ 동진보살을 중심으로 한 불화이며‚ 셋째는 대석천‚ 대범천을 중심으로 그린 불화‚ 넷째는 동진보살을 중심으로 그린 불화이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안양암 대웅전의 신중도는 대웅전 내부 좌측 앞 벽에 모셔져 있는데 당대 최고의 화승으로 손꼽히는 고산당 축연(古山堂竺演)‚ 보응당 문성(普應堂文?)‚ 학송(鶴松) 등이 1924년에 제작한 작품으로 유명하다. 화면 중심에는 다면다비(太面太臂)의 대예적금강역사(?穢跡金剛力士)를 꽉 채우고‚ 이를 중심으로 제신(諸神)들이 배치된 형식이다. 예적금강역사는 몸에서 불꽃이 솟아오르고‚ 얼굴은 3개‚ 팔은 10개로 표현되어 있다. 대예적금강역사의 우측에는 위태천‚ 서방 및 남방천왕‚ 용왕‚ 산신 등이 있고‚ 좌측에는 일궁천자‚ 월궁천자‚ 동방 및 북방천왕‚ 천녀 등이 그려져 있다. 이 불화는 예적금강역사의 표현에서 20세기 초 유행했던 명암법을 찾아 볼 수 있으며 이러한 기법은 화성 용주사 신중도‚ 강화도 보문사 신중도에서도 보인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992. 김원룡 감수‚『한국미술문화의 이해』‚ 예경‚ 199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