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굽다리접시

추천0 조회수 1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굽다리접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2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다리가 붙은 모든 그릇을 굽다리접시라고 할 수 있으며‚ 제기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었던 그릇의 한 종류 <발달과정/역사> 굽다리접시가 한 시기의 주된 그릇 종류로 등장하는 것은 청동기 말기-초기철기시대부터이다. 즉 아가리띠그릇(粘土帶土器) 단계부터 굽다리접시가 점차 주된 그릇으로 정착하게 된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굽다리접시는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일대의 선사시대 및 고대 용기 문화에서 자주 보이는 그릇의 한 종류이다. 중국식 명칭으로는 ‘두(豆)’라고 하는데‚ 나물 혹은 고기를 담는 그릇이며 제기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었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굽다리접시의 기본 형태는 낮은 접시나 깊은 완‚ 혹은 바리와 같은 몸체에 원통형 또는 꼭지점을 잘라낸 원추형의 다리가 붙어 있는 모습이다. 또한 굽다리접시는 다른 어떤 그릇보다도 그릇 뚜껑이 따로 제작되어 덮이는 경우가 많은데‚ 따라서 뚜껑없는굽다리접시(無蓋高杯)와 뚜껑굽다리접시(有蓋高杯)로 구분할 수 있다. 동아시아 여러 지역에서 공통으로 보이는 굽다리접시의 역사적 관련성은 분명치 않으나‚ 다만 수렵 및 채집 위주의 생업경제를 영위하던 단계에서는 볼 수 없다가 농경사회에 접어들면서 풍부하게 제작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굽다리접시는 농경사회의 제례용기 혹은 농경민의 개인용 식기로 추측되고 있다. 소개한 유물은 회흑색도기로 집자리 동벽 도랑의 아래쪽 퇴적토 내에서 바로 세워진 채 드러났다. 굽다리 일부만 깨졌을 뿐 거의 온전하다. 수비가 잘 된 바탕흙을 사용하였다. 접시에 짧은 굽다리가 달린 모습으로‚ 구워지는 과정에서 몸체가 틀어졌고 바닥에는 기포가 생겨 볼록하다. 접시는 물레 위에서 썰질법으로 만들어졌는데‚ 전은 바깥으로 살짝 바라지며 입술은 조금 둥글게 마감되었다. 몸체 상단에 1줄의 볼록 띠를 돌려 장식하였다. 바닥 겉면을 부채살처럼 3-4cm 길이의 흠집을 띄엄띄엄 만들고 짧은 굽다리를 붙였다. 이어 창을 9개 내었는데 그 중 네모가 8개이고 세모는 1개이다. 창의 크기는 사각형의 경우 1.2*1.5cm이고 삼각형 창은 아랫변의 길이가 2.2cm이며‚ 사각형 창의 간격은 1.5cm이다. 굽다리의 밑테는 둥글게 처리하여 자른면이 원형이다. 이후 물손질로 겉면을 곱게 손질하였다. 그릇높이 61-65mm이고‚ 접시의 높이 42mm‚ 입지름 141-157mm‚ 두께 3-8mm이며‚ 굽다리의 높이는 23mm‚ 윗지름 88mm‚ 아래지름 95mm‚ 두께 7-12mm이고‚ 무게는 376.9g이며‚ 부피는 42l이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93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고고학사전”‚ 200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