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접시

추천0 조회수 3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접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2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점토를 물에 개어 빚은 후 불에 구워 만든 각종 그릇들 중 반찬이나 과일 등을 담는 얇고 납작한 그릇. <발달과정/역사> 굽다리접시(高杯)가 접시의 조형(祖型)으로 추측된다. 고려시대에는 청자로 만든 접시가 사용되었고‚ 조선시대에는 분청사기·백자 등이 있었다. 현재에는 사기나 유리·플라스틱 등으로 만든 다양한 형태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질그릇은 보통 500-1000℃ 이하에서 구워지지만 그 이상에서 구워진 것은 도기(陶器)라 부르고‚ 유약을 바른 것을 자기(磁器)라 부르는데‚ 한국에서는 통일신라시대 이후에 나오는 유약을 바른 자기를 제외하고는 모두 질그릇(土器)이라 부른다. 질그릇은 점토의 가소성(可塑?)을 이용하여 형태를 빚고‚ 그것을 높은 온도에서 소성시켜 만든 용기로서‚ 대체로 완성된 질그릇이 나오기까지는 4-5단계의 공정을 거친다. 그 첫 단계가 원료점토의 채취와 태토의 준비이고‚ 그 두 번째 단계가 그릇의 형태를 만드는 성형‚ 면을 다듬는 정면 및 장식의 단계이며‚ 세 번째 단계인 건조과정을 거쳐 마지막으로 네 번째 단계인 소성을 거치면 완성된다. 각 시대별 특징이 뚜렷한 토기는 신석기시대의 빗살무늬그릇(櫛文土器)‚ 청동기시대의 민무늬그릇(無文土器)‚ 철기시대의 타날문그릇(打捺文土器) 등이며‚ 이어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 각종 그릇으로 발전하게 된다. 접시는 비교적 편편한 모양의 것이 일반적인데 크기와 모양이 다양하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서양요리용 접시를 접시라고 지칭하지만 그전에는 가제(家祭)에서 제물을 괴는 고배형 그릇을 모두 접시라 칭하였다. 즉‚ 뚜껑이 없이 편편한 식기에 대한 총칭으로 사용된 것이다. 소개한 접시는 모난 모래가 비짐으로 섞여 있는데‚ 크기는 3mm이하가 많고‚ 5mm짜리도 있다. 연질의 그릇으로‚ 벽의 살이 시계 반대 방향으로 밀려 있으며‚ 전 둘레에 물손질 자국이 나란한 선으로 남아 있다. 바닥과 이어지는 벽 옆면에는 밑가새에 긁힌 자국이 또렷하다. 바닥면의 모습은 매끈하거나 고르지 못하다. 이러한 현상으로 물레 위에서 만들어진 그릇임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93 국립문화재연구소‚ “한국고고학사전”‚ 2001 조선대학교 박물관‚ "광주 산월ㆍ뚝뫼ㆍ포산유적"‚ 1995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