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질화로

추천0 조회수 4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질화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2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숯불을 담아놓는 그릇 <개설> 오지·무쇠·놋쇠·곱돌 따위로 만들며 형태에도 여러 가지가 있다. 또‚ 쓰임에 따라 불씨 보존 및 보온을 위한 것‚ 차를 달이는 것‚ 난방을 위한 것‚ 여행 때 가마 안에서 쓰던 수로(手爐) 따위로 나눌 수 있으나 몇 가지 구실을 함께 하는 것이 보통이다. <역사> 화로는 본디 화덕에서 비롯되었으며 등듸나 화투 또는 봉덕의 단계를 거쳐 완성된 기구이다. 함경도 지방의 등듸는 선사시대의 화덕이 변형‚ 발전된 것이다. 청동기시대의 화덕은 집자리 가운데 땅을 오목하게 파고 주위에 어린아이 머리만한 돌들을 둘러놓은 것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철기시대의 것은 그 테두리를 진흙으로 둘러놓아‚ 등듸가 이 시기에 완성되었음을 알려준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농가에서 흔히 쓰던 질화로는 자배기를 닮아 둥글넓적하고 아가리가 쩍 벌어졌으며 좌우 양쪽에 손잡이가 있으나 받침은 달리지 않았다. 이 질화로는 그릇 안쪽에 검뎅이가 묻어있어 화로로 쓰였다고 추정된다. 겉면 두 군데에 껍질이 떨어진 것도 화로로 사용되는 과정에서 열을 받아 약해진 탓으로 보인다. 넙전의 아가리‚ 약간 배부른 듯한 그릇벽‚ 그리고 굽바닥으로 이루어져 있다. 겉면을 잘 문지르고 옻칠을 하였다. 보존 상태는 보통이나‚ 겨울철 옛 조상들의 실내 난방문화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사회문화적 의의> 예전에는 불씨가 집안의 재운을 좌우한다고 믿어서 집에 따라서는 불씨가 담긴 화로를 시어머니가 며느리에게 대대로 물려주었으며‚ 종가에서 분가할 때에는 그 집의 맏아들이 이사하는 새집에 불씨 화로를 들고 먼저 들어가는 것이 관례였다. 상류 가정에서 주인이 아랫목에 앉아 손님을 맞을 때에는 화로를 손님 가까이 놓는 것을 예의로 삼았으며‚ 서민층에서도 화로를 연장자나 손님 곁으로 밀어주어서 따뜻한 정을 표하였다. <참고문헌> 韓國民俗?觀 5(高麗?學校民族文化硏究所‚ 1980) 韓國의 住居民俗誌(金光彦‚ 民音社‚ 1988).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9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