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무명적삼

추천0 조회수 54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무명적삼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면평 직물의 홑으로 만든 윗옷. 단삼(單衫)이라고도 한다. 여름용 적삼과 저고리 밑에 입는 속적삼이 있다. 형태는 저고리와 같으나 고름이 없고 단추로 여민다. 모시·삼베·무명 등으로 만드는데 삼베는 약간 거친 느낌을 주지만 모시는 올이 곱고 시원하다. 특히‚ 세모시로 만든 것은 올이 곱고 아름다워 좋다. 무명은 수직기(手織機)인 재래식 베틀로 제직된 면평 직물이다. 무명은 광목(廣木)·옥양목(??木)·서양목과 같은 면직물과 구별되어 명명된 우리 나라의 토속 직물로서‚ 실용적인 춘하추동의 의복 재료 및 침구‚ 기타 생활용품 자료로 가장 많이 이용된 직물이다. ≪성호사설 星湖僿說≫에도 번우(番愚) 지역에는 본래 푸르고‚ 붉고‚ 흰 세 종류의 무명이 있었는데‚ 지금은 그 중 흰 것만이 전하고 있다고 기록되어 있어 무명의 색이 다양했음을 알 수 있다. 우리 나라의 무명은 조선 태종 때 일본으로 수출되었으며‚ 면 종자와 제직 기술도 전파시켰다. 그리하여 일본인들도 면직물을 사용하게 되었다. 그러나 19세기 초부터는 오히려 일본 면포와 공장제 제직 기술이 역전파되어 우리 나라의 무명 생산에 큰 영향을 미쳤다. 무명은 질박하고 무기교하며 소백하고‚ 또 물레로 실을 자으므로 불규칙한 굵기 때문에 표면에 변화가 있어‚ 그 질감과 색감‚ 미적 특성이 우리 민족의 감각에 합당해 오랫동안 자동직기로 제직된 값싼 면포를 압도해‚ 많이 사용되었던 옷감이다. 무명으로 옷을 지을 때 겨울옷은 솜을 두어 겹으로 지었으며‚ 봄·가을 것은 그냥 겹으로 지었고‚ 여름옷은 홑으로 지었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디지털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EncyKorea)"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