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서안

추천0 조회수 36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서안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글을 읽거나 글씨를 쓸 때 사용하는 평좌식 책상. 현존하는 서안의 유품은 대개 19세기 이후의 것들임에도 특정의 규격화된 것이 없이 각양각색인데‚ 그것은 조선시대 선비의 공통된 취향에 의해 제작되었던 가유품(家儒品)이기 때문이다. 나뭇결이 좋은 문목(紋木)을 즐겨 취하되‚ 단단하고 정갈한 판자로 한다. 하장 부분에 운각을 새기거나 붉게 칠하는 등의 번다한 치장을 피하고 소박하게 만들어야 한다. 낙랑고분에서 목제 서안이 출토된 바 있으나‚ 삼국시대의 서안을 상고할 수는 없다. 다만 부여에서 출토된 청동제 수형안각(?形案脚)이 있고‚ 고려 유물로서도 청동 경상(經床)이 있다. 경상은 사찰의 법당에 비치하던 것이지만‚ 그런 변죽 있는 안상류는 때때로 서안으로도 사용되었다. ≪참고문헌≫ 이종석‚ 한국의 목공예(下)‚ 열화당‚ 1971.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