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투전

추천0 조회수 4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투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여러 가지 그림이나 문자 따위를 넣어 끗수를 표시한 종이조각을 가지고 하는 노름. 남자들의 실내오락의 하나이다. 두꺼운 종이로 작은 손가락 너비 만하게 15㎝ 쯤 되도록 만들어 그 한 면에 인물·새·짐승·벌레·물고기 등의 그림이나 글귀를 적어 끗수를 표하고‚ 기름으로 결은 것인데‚ 60장 혹은 80장이 한 벌이나 40장을 가지고도 하며 방법도 여러 가지가 있다. 이 투전을 ‘投箋(투전)’이라고도 쓰는데‚ 이에 대한 기록으로는 조선 정조 때 학자 유득공(柳得?)의 ≪경도잡지 京都雜志≫ 도희조(賭戱條)에 투전에 대한 간단한 설명이 있고‚ 이규경(李圭景)의 ≪오주연문장전산고 五?衍文長箋散稿≫ 희구(戱具) 변증설에는 17세기 조선 숙종 때 역관인 장현(張炫)이 중국의 노는 법을 고쳐 만든 것이라 하였다. 투전은 이에 쓰는 투전 목의 수나 참가인원 또는 내용에 따라 ‘돌려대기’·‘동동이’·‘가구’·‘우등뽑기’ 따위로 나뉘며 한가지 방법에도 몇 가지 세목이 있다. 가령 ‘가구’ 중에도 다섯끗 석장으로 15끗 내는 것을 ‘대방신주’‚ 1과 4로 되는 것을 ‘여사’‚ 2와 1로 되는 것을 ‘뺑뺑이’라고 한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디지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