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목제쟁반

추천0 조회수 68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목제쟁반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운두를 얕게 만든 넓고 둥근 그릇. 음식을 담은 그릇을 받쳐놓는 반(盤)이다. 식기는 선사시대의 토기류에서부터 시작되어 삼국시대로 오면서 주부식의 정착으로 재료나 종류면에서 매우 다양해져 칠기와 금은기 등을 사용하였다. 고려시대에는 철기(鐵器)·금은기·금은도기(金銀鍍器)·자기(磁器)·놋그릇〔鍮器〕등을 사용하였으며 조선시대에 들어서는 유기와 백자를 주축으로 하는 새로운 식기류가 등장하였다. 이 가운데 목기류는 작은 그릇에서 함지박이나 바가지류‚ 각종 제기(祭器)에 이르기까지 다양하였다. 식사용 식기로는 반기(飯器)·조반기(朝飯器)·대접·합·반병두리·바리때 및 각종 반찬 그릇‚ 술잔·수저 등이 있고 조리용 식기로는 솥·냄비·뚝배기·오지냄비·바가지·옹배기·자배기·양푼·바구니·소줏고리 등이 있다. 저장용기로는 뒤주·독 등이 있으며 발효용기로는 초병이 있다. 이 쟁반의 물고기 문양의 쟁반인데 물고기의 머리부분과 꼬리‚ 지느러미 등이 표현되어 있고‚ 배부분을 얕게 파서 그릇이나 음식 등을 담을 수 있도록 했다. 머리 부분에는 눈과 입 등을 조각했고 머리 뒷부분과 꼬리 등의 비늘과 지느러미 등을 사실적으로 표현했다. 사선으로 금이 가 있다. 인류의 생활 주변에 어문을 그려넣기 시작한 것은 석기시대부터 당시의 어로생활에서 비롯되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어로생활을 통한 풍요를 기원하는 주술적인 의미를 지닌 것으로 볼 수 있다. 물고기 그림이 무늬로 도자기를 비롯하여 각종 기물의 의장에 쓰여지는 의미는 부귀(富貴)‚ 길경(吉慶)을 나타내고‚ 또는 다손 및 번영을 의미한다고 하였다. 특히 결혼용품 등 혼수의복 등에는 물고기를 수놓는 풍속이 있었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디지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EncyKorea)" 임영주‚ "전통문양자료집"‚ 2000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