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은 칠보 노리개 장식

추천0 조회수 2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은 칠보 노리개 장식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노리개는 여성의 몸치장으로 한복 저고리의 고름이나 치마허리 등에 다는 패물로 궁중에서는 물론 상류사회와 평민에 이르기까지 널리 애용된 장식물이다. 노리개는 외형상 섬세하고 다채로우며 호화로운 장식이기도 하였지만‚ 정신적인 배경으로는 부귀다남 ·불로장생 ·백사여의(百事?意) 등의 시대적인 행복관을 바탕으로 한 여인들의 염원이 담겨 있었다. 노리개 외에도 실용적인 면과 부덕(婦德)을 나타내 주는 것으로 향갑(香匣) ·침낭 ·장도(粧刀) 등이 있다 노리개는 저고리고름이나 치마허리에 차는 부녀자들의 장신구이다. 다채로운 색상과 귀한 패물을 사용하여 단조로운 우리 나라 의상에 화려하고도 섬세한 미를 더해준다. 조선시대 여성의 장신구로서 가장 다양하게 발달한 장신구이다. 노리개는 띠돈.끈. 및 주체가 되는 패물(삼작 또는 단작). 매듭‚ 술등으로 구성된다. 띠돈은 주체가 되는 패물을 연결한 끈을 한 곳에서 정리하기 위해 만든 고리로 고름에 걸게 되어 있다. 매듭과 술은 홍.남.황의 삼원색을 기본색으로 하여 분홍.연두.보라.자주.옥색 등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노리개 위쪽의 다양한 매듭부분은 짧은 저고리의 길이와‚ 훤칠하게 드리운 술부분은 긴 치마길이와 같은 비례를 이루고 있다. 한편 칠보란 금속 등의 재료에 유리질을 녹여 붙이는 과정을 거쳐 아름답고 귀한 색상의 보배로운 물건을 만드는 공예기법으로 이 때 부식을 방지하고 강도를 더해주어 마치 일곱 가지 보물(金·銀·瑠璃·厓璃·簫腔·赤?·瑪瑙)과 같은 색상이 난다하여 ‘칠보’라 한다. 우리 나라에서는 `파란`이라고도 하였다. 칠보의 소지로는 적동(赤銅)을 쓰는 것이 보통이나 금 ·은 ·톰백(tombac:구리와 아연의 합금) 등을 쓰기도 하며 도기나 유리를 사용한 것도 있다. 유럽의 에나멜이나 에마유(mail)는 칠보와 마찬가지의 기술이다. 각종의 소지에 유약을 발라 녹여 부착시킨다. 유약은 규토 ·장석(長石) ·소다 ·붕사 및 다른 재료를 녹여서 만든 물체이고‚ 그 색소는 금속산화물을 첨가하여 나타내며 발색(發色)도 상당히 자유롭고 아름다운 색상을 얻을 수 있으나 유약을 혼합시켜서 다른 색을 낼 수는 없다. 유약은 완전한 무기물이기 때문에 금속과 함께 영원성을 지니게 된다. 유약은 그 과립(顆粒)의 크기에 따라 미세한 것과 거친 것으로 나뉘며‚ 투명도에 따라 불투명 ·반투명 ·투명으로 나뉜다. 또한 용해점에 따라서 분류하기도 하며 이는 가마솥 과정에서 대단히 중요하다. 용해점의 범위는 700∼820℃이다. 금속의 표면에 유약을 부착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며 기법에 따라 각기 다른 효과를 나타낸다. 은(銀 ‚ silver)은 청백색의 아름다운 광택을 가지며 귀금속으로서 금과 함께 사용되어 왔다. 지각 중에 함유된 양은 적은데‚ 천연으로는 자연은(自然銀)으로서 산출되는 것 외에 휘은석(輝銀石)으로 산출되기도 한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디지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EncyKorea)" 네이버 백과사전(http://www.naver.com)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