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사규삼

추천0 조회수 30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사규삼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조선시대 남자아이의 상복(常服). 사규삼이란 옷자락이 네 폭으로 갈라져 있는 데서 나온 명칭이라고 할 수 있다. 또는 결과복(缺?服)이라고도 하는데‚ 결과복이란 원래 중국에서는 싸움터에서 입는 옷으로 일종의 융복이라 할 수 있다. 이것이 우리 나라에 전래되어서는 남자아이의 예복 비슷한 구실을 하게 된 것이다. ≪사례편람 四禮便覽≫ 관례조(冠禮條)에서는 “남색의 견(絹) 또는 주(紬)로 만든다. 옷깃은 여미게 되어 있고‚ 소매는 둥글며‚ 갓을 트고 뒤를 쪼개었다. 금(錦)으로써 깃 및 소매끝과‚ 옷자락 양 갓과 밑에 연(緣)을 둘렀다. 세속의 중치막의 유(類)와 같다.”라 하고 있다. 남자아이의 관례 때에는 이 사규삼을 입고‚ 늑백(勒帛 : 행전)을 치고‚ 채극(彩珦)을 신은 옷차림으로 관례에 임하였다. 또한‚ 이 사규삼을 남자아이의 상복으로 입을 때에는 머리에 복건 내지 입자(笠子)를 썼다. 이 사규삼은 수자(壽字)·편복(編福)·표주박문이 직조된 분홍색 생고사(生庫紗)로 지었다. 깃·섶·도련·소매 끝에는 흑색을 둘렀으며 각 선에는 여러 가지 길상어문(吉祥語文)을 부금(付金)하였는데 소매의 선에는 수부귀 다남자(壽富貴 太男子)를 뒷소매에는 부여해 수여산(富?涇 壽?山)을‚ 섶에는 자의자손 수여금석(子宜子孫 壽?金石)을‚ 앞길에는 자구다복 영언배명(自求太福 永言配命)을 뒷길의 선에는 자손창성 수복강령(子孫昌盛 壽福康寧)을 부금(付金)하였으며 각 글자의 사이사이에는 원수문(圓壽紋)을 부금(付金)하여 변화를 주고 있다. 이러한 자문의 의미는 건강하고 부귀를 누리며 오래오래 살고 자손의 번창을 기원하하는 뜻을 담고 있다. 또한 각 선의 모서리에는 문(紋)을 앞판에 10‚ 뒷판에 6개를 부금(付金)하여 강조하고 있다. 깃은 곧고 흰 동정을 달았으며 겨드랑이에서 길리 트여 있다. 여밈은 화형(花形)의 밀화단추 1개로 여미도록 되어 있으며 실띠를 띤다. 착용할 때는 진록색 화문사(花紋紗)로 된 포위에 덧입었다. 이 사규삼은 영왕이 어렸을 때 착용했던 유일한 것이라고 한다. 영친왕은 고종의 일곱번째 아들로서 한말의 마지막 황태자이다. 본명은 이은(李垠)이며 순빈(減嬪) 엄씨(嚴氏)의 소생이다. 순종황제의 이복동생이기도 한데 1900년 영왕(英?)에 책봉되었다가 1907년(융희 1) 황태자에 책립되었으며 그해 12월 통감(統監)으로 부임해 온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에 의하여 11세 때 강제로 일본에 끌려가 교육을 받고 일본 나시모토노미야(梨本宮)의 딸 마사코(方子)와 정략결혼을 강요당하여 비(?)로 맞았다. 1910년 국권피탈로 융희황제(隆熙皇帝)가 폐위되자 왕세제(?世弟)로 불렸고‚ 1926년 순종이 승하하자 이왕(李?)이라 하였다. 일본의 육군사관학교 ·육군대학을 졸업하고 육군 중장에 이르렀다. 8 ·15광복 후 일본 왕족의 몰락과 더불어 고난의 세월을 보내다가 1963년 11월 56년 만에 환국을 하였으나 귀국 후 7년여 병상생활을 하다가 한많은 생을 마쳤다. 미망인 방자(方子) 여사는 창덕궁 낙선재(樂善齋)를 지키면서 명휘원(明暉園)을 경영하였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디지털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EncyKorea)" 네이버 백과사전(http://www.naver.com)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 "숙명사랑기증전"‚ 1998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