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분홍 숙고사 저고리

추천0 조회수 40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분홍 숙고사 저고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양팔과 몸통을 감싸며 앞을 여며 입는 형태로 된 한복의 윗옷. 우리 민족의 고유복식은 바지저고리를 기본구조로 하는 북방계통이다. 특히 저고리에서는 북방계 옷의 공통된 특징인 곧은깃(直領)‚ 왼쪽으로 여밈(左父)‚ 좁은소매(窄袖) 등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저고리의 길이는 임진왜란을 전후하여 점차 짧아진다. 지금까지 조사된 저고리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은 1530년대와 1560년대의 유물이다. 이것은 이미 띠가 필요 없을 만큼 짧아져 띠 대신 고름이 달려 있고‚ 각 부의 구성이 오늘날과 크게 다르지 않다. 이후로 여러 점의 유물이 발굴되고 있어 조선시대 저고리의 변천을 자세히 살필 수 있다. 1600년대의 저고리는 길이가 60∼80㎝이고‚ 1700년대에는 45㎝ 정도‚ 1800년대에는 35㎝ 정도‚ 1900년대에는 22㎝ 정도로 짧아졌다. 여자저고리는 줄곧 단소화(短小化)의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 경향은 조선시대 중기·후기에 더욱 가속화되어 그 길이가 가슴을 가릴 수 없을 정도로 짧아지고‚ 직배래를 이룬 소매는 벗을 때 소매를 뜯어내야 할 정도까지 이르러 요사(?邪)하다는 지탄을 받기도 하였다. 저고리가 짧아짐에 따라 각 부의 형태도 작아졌고‚ 특히 고름은 가늘고 짧아졌다. 반면‚ 회장은 겨드랑이에서 소매를 따라 나아가는 등 더욱 강조되었다. 이와 같이 저고리가 짧아진 현상은 엄청나게 큰 머리모양‚ 풍성한 치마와 어울리기 위한 것으로‚ 그 당시의 해이하고 화미(華美)하였던 사회풍조의 반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소화의 경향은 말기에 약간의 반전기미를 보이다가 개화기에 들어 1920년대까지 지속된다. 그 뒤 1930·1940년대에는 저고리의 길이와 각 부가 커지는 장대화(長?化)의 경향이 나타난다. 사(紗)에는 대표적인 옷감으로 숙고사·생고사·갑사 등이 있다. 일반 직물은 날실[經絲] 이 평행으로 배열되면서 씨실[緯絲]이 교차하고 있는데 반해 사직(紗織)은 두 가닥의 날실이 있어 한 가닥의 날실은 보통 직물에서와 같이 직선상으로 씨실과 교차하나‚다른 한 가닥의 날실은 규칙적으로 날실의 좌우로 왕래하면서 날실과 씨실을 얽어매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조직은 공간이 많은 직물이 되며‚ 날실과 씨실이 얽혀 있으므로 실이 밀리지 않아 공간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조선시대 문헌에는 각 색의 별문숙고사(別紋熟庫紗)가 사용되었음이 나타난다. 현재까지 전해지는 숙고사의 무늬는 원형으로 도안화한 수(壽)자문과 표주박무늬가 복합된 도안을 주로 많이 사용한다. 봄‚ 가을철의 옷감으로 적당하다. 영친왕은 고종의 일곱번째 아들로서 한말의 마지다가 한많은 생을 마쳤다. 미망인 방자(方子) 여사는 창덕궁 낙선재(樂善齋)를 지키면서 명휘원(明暉園)을 경영하였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디지털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EncyKorea)" 네이버 백과사전(http://www.naver.com) 심연옥‚ 한국 직물 오천년‚ 고대직물연구소 출판부‚ 2002‚ p196막 황태자이다. 본명은 이은(李垠)이며 순빈(減嬪) 엄씨(嚴氏)의 소생이다. 순종황제의 이복동생이기도 한데 1900년 영왕(英?)에 책봉되었다가 1907년(융희 1) 황태자에 책립되었으며 그해 12월 통감(統監)으로 부임해 온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에 의하여 11세 때 강제로 일본에 끌려가 교육을 받고 일본 나시모토노미야(梨本宮)의 딸 마사코(方子)와 정략결혼을 강요당하여 비(?)로 맞았다. 1910년 국권피탈로 융희황제(隆熙皇帝)가 폐위되자 왕세제(?世弟)로 불렸고‚ 1926년 순종이 승하하자 이왕(李?)이라 하였다. 일본의 육군사관학교 ·육군대학을 졸업하고 육군 중장에 이르렀다. 8 ·15광복 후 일본 왕족의 몰락과 더불어 고난의 세월을 보내다가 1963년 11월 56년 만에 환국을 하였으나 귀국 후 7년여 병상생활을 하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