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흑색 문단 조바위

추천0 조회수 2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흑색 문단 조바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부녀자가 쓰는 방한모. 조선 후기에 아얌이 사라지면서 가장 널리 사용된 것으로‚ 그 역사가 가장 짧다. 상류계급에서 일반평민에 이르기까지 대부분 착용하였으나‚ 주로 반인(?人) 부녀자들의 장식을 겸한 외출모로 쓰였다. 따라서‚ 예복을 갖추지 못하였을 때에는 조바위를 쓰고 절을 하기도 하여 의례적인 용도로 쓰이기도 하였다. 일반적인 형태는 남바위·풍차·아얌과 같이 정수리는 뚫려 있고 앞이마와 양귀 등 머리 전체는 덮어주는 형태인데‚ 귀를 덮은 부분은 안으로 1∼3㎝ 가량 오그라들어서 더욱 방한의 구실을 한다. 겉감은 단(緞)이나 사(紗)를 사용하고 안감은 단·명주·무명을 사용한다. 앞뒤에는 술이 달려 있고 술 위에는 보석 장식이 부착되기도 한다. 앞이마의 좌우 양쪽과 뒤 제일 밑에 은·비취·옥 등으로 장식된 것도 있다. 앞뒤 술이나 보석에 연결된 끈은 꽃모양 은줄‚ 산호줄·끈목 종류이다. 금박이나 구슬로 수를 놓은 것도 있는데‚ 이러한 것은 어린이나 젊은층에서 사용하였다. 겉감은 검은색·자색‚ 안감은 남색·자색·상아색·흑색 등으로 다른 난모들에 비하여 재료와 색이 다양하다. 단은 주자조직으로 제직된 직물의 총칭이다. 단은 무늬가 없는 공단(貢緞)과 단층의 주자문직물인 문단(紋緞)‚ 이색단‚ 중조직으로 짜여진 직금단(織金緞)‚ 금단(錦緞)‚ 화단(花緞) 등으로 구분된다. 주자조직은 조직점이 분산되고 거의 표면에 드러나지 않아 직물면이 매끈하고 광택이 나는 것이 특징이다. 경사가 표면에 많이 드러나게 짜여진 조직은 경주자직이라 하며 위사가 많이 드러나게 짠 것은 위주자직이라 한다. 현대 주자직물의 대부분은 경주자직물이지만 전통직물에서는 경주자직과 위주자직을 혼합한 문단의 제직이 많이 이루어졌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디지털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EncyKorea)"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