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소색 봉황 운문 조끼

추천0 조회수 28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소색 봉황 운문 조끼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조끼란 저고리 위에 덧입는 옷을 말한다. 배자를 대신하여 저고리를 입은 매무새를 가다듬어 주고‚ 주머니가 있어 소지품의 간수를 편리하게 한다. 한자의 족기(○只)는 취음이다. 조끼는 1900년 전후 서양복식 제도의 수용과정에서‚ 누구인가 저고리 위에 입기 시작하면서부터 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곧‚ 양복에서 와이셔츠 위에 입는 조끼가 우리 옷의 저고리 위에 덧입는 배자와 비슷한 데다가‚ 우리 옷에 없는 호주머니가 있어 아주 편리하게 되어 있으므로 처음에는 양복조끼 그대로를 입어 보았을 것이고‚ 만주사람의 마괘(馬掛)를 마고자로 고쳐 만들어 입은 지혜로 우리 옷에 맞는 것으로 만들어 입게 된 것이 오늘의 한복 조끼라고 할 것이다. 현재의 조끼 모양은 양복의 조끼 모양과 같이 뒷길과 앞길로 조성되어 있으며‚ 왼쪽 앞길에는 주머니가 두 개 있고 오른쪽 앞길에는 주머니가 한 개 있다. 계절에 따라 봄·가을에는 사(紗) 등 춘추 옷감으로 만든 겹조끼를 입고‚ 겨울에는 단(緞) 종류로 만든 겹조끼를 입는다. 또‚ 여름에는 홑조끼를 입거나‚ 적삼의 앞길을 조끼 모양으로 만들고 소매를 달아 조끼와 적삼이 한데 어우러진 조끼적삼을 입기도 한다. 우리 옷의 조끼는 양복의 조끼와는 달리 저고리와 바지보다 화려하면서 조화되는 색을 선택하여 옷 전체에 조화와 포인트를 주는 구실을 한다. 어린이의 조끼는 길복(吉福)을 기원하는 무늬나 문자로 금박을 하여 장식하기도 한다. 양단이란 주자문직으로 자카드직기에 의하여 제직되는 선염견직물을 말한다. 양단은 한말에 수입된 영국산 다마스크(damask)에 대한 명명인데‚ 수입품에 대한 선호 의식 때문에 우리 나라에서 제직된 직물에까지 양단이라는 이름이 붙어 오늘에 이른 것으로 본다. 이것은 1900년대에 영국산 면포가 우리 나라에 수입되어 서양목(西?木)이라고 명명되어 그것이 상목(上木)으로 전환되어 오늘날까지도 상목이 깨끗하고 정하게 정리‚ 가공된 면포의 대명사가 된 것과 같은 현상이다. 우리 나라에서 80여년 전에 사용된 직물기록에 조선산 백합단·국화단·혜화단·노고화단·이화단·계화단·해운단·불로단·오엽단·태극단·자손단 등과 영국산 양단이 있어‚ 그 당시에는 우리 나라에서 생산된 단과 영국에서 수입된 단이 구별되어 명명되었음이 나타난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디지털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EncyKorea)" 네이버 백과사전(http://www.naver.com)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