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소색 능직 인견 겹저고리

추천0 조회수 3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소색 능직 인견 겹저고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양팔과 몸통을 감싸며 앞을 여며 입는 형태로 된 한복의 윗옷을 저고리라고 하며 그 중 솜을 두지 않고 겹으로 지은 저고리를 겹저고리라고 한다. 언제부터 저고리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문헌에 처음 보이기는 1420년(세종 2) 원경왕후 천전의(遷?儀)에 나오는 ‘赤古里’ 또는 ‘短赤古里’라는 기록인데‚ 이는 우리말을 취음한 한자표기인지‚ 몽고의 영향인지 그 어원을 단정할 수 없다. 우리 민족의 고유복식은 바지저고리를 기본구조로 하는 북방계통이다. 특히 저고리에서는 북방계 옷의 공통된 특징인 곧은깃(直領)‚ 왼쪽으로 여밈(左父)‚ 좁은소매(窄袖) 등의 특성을 지니고 있다. 저고리의 길이는 임진왜란을 전후하여 점차 짧아진다. 지금까지 조사된 저고리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은 1530년대와 1560년대의 유물이다. 이것은 이미 띠가 필요 없을 만큼 짧아져 띠 대신 고름이 달려 있고‚ 각 부의 구성이 오늘날과 크게 다르지 않다. 이후로 여러 점의 유물이 발굴되고 있어 조선시대 저고리의 변천을 자세히 살필 수 있다. 1600년대의 저고리는 길이가 60∼80㎝이고‚ 1700년대에는 45㎝ 정도‚ 1800년대에는 35㎝ 정도‚ 1900년대에는 22㎝ 정도로 짧아졌다. 여자저고리는 줄곧 단소화(短小化)의 경향을 보이고 있다. 그 경향은 조선시대 중기·후기에 더욱 가속화되어 그 길이가 가슴을 가릴 수 없을 정도로 짧아지고‚ 직배래를 이룬 소매는 벗을 때 소매를 뜯어내야 할 정도까지 이르러 요사(?邪)하다는 지탄을 받기도 하였다. 저고리가 짧아짐에 따라 각 부의 형태도 작아졌고‚ 특히 고름은 가늘고 짧아졌다. 반면‚ 회장은 겨드랑이에서 소매를 따라 나아가는 등 더욱 강조되었다. 이와 같이 저고리가 짧아진 현상은 엄청나게 큰 머리모양‚ 풍성한 치마와 어울리기 위한 것으로‚ 그 당시의 해이하고 화미(華美)하였던 사회풍조의 반영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소화의 경향은 말기에 약간의 반전기미를 보이다가 개화기에 들어 1920년대까지 지속된다. 그 뒤 1930·1940년대에는 저고리의 길이와 각 부가 커지는 장대화(長?化)의 경향이 나타난다. 재생섬유는 우아하고 섬세한 견섬유를 모방하여 인공적으로 만든 섬유로서 이를 인조견이라고 하는데 나중에 이름이 레이온으로 바뀌었다. 인조견은 산화‚ 환원표백제에 견디지만 강한 산화표백제에는 손상을 받는다. 또한 염색시 물에 의해 얼룩이 쉽게 생기는데 직접염료‚ 환원염료‚ 유화염료 등에 염색 된다. 인조견은 의류‚ 자동차타이어‚ 가구용품 등에 사용된다. 능(綾‚ twill weave)은 날실과 씨데‚ 그 유물로는 BC 1750년 은(殷)나라 중기의 은허 (殷墟)에서 출토된 도끼에 붙어 있는 사매능(四枚綾)으로 능문(菱紋)을 나타낸 견직물이 있다. 한 대(漢代)에 와서는 평지능문릉(平地綾紋綾)이 발전하여‚ 실크로드를 통하여 서방에 전해졌으며‚ 시 리아의 팔미라(Palmyra)에서는 한대의 능이 많이 출토되었다. 한국의 낙랑(樂?)에서 출토된 것은 평지(平地)에 4올의 사문(斜紋)으로 무늬를 나타내고 있다. 당대(唐代)에 와서는 능지(綾地)에 사 문 무늬를 나타낸 것이 번성하였고‚ 송대(宋代) 초의 것은 한 조직이 6올로 된 것까지 있다. 이러한 능의 제조기법은 5세기 중반에 중국에서 한국에 전해졌다. 이러한 고대(古代)의 능과는 별도로 오늘날에는 서구의 근대기술에 의한 능직물이 많이 발전되었고‚ 능직도 다양화되어 직물제 조에 많이 이용된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디지털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EncyKorea)" 네이버 백과사전(http://www.naver.com) 박물관종합정보안내 사이트(http://www.korea-museum.go.kr)실의 조합방법을 변화시켜 바탕과 무늬가 다른 조직으로 짜여진 문직물(紋織物)을 말한다. 조직점이 대각선으로 배열된 섬유조직이다. 능조직(綾組織)‚ 사문직(斜 紋織)이라고도 한다. 경사와 위사가 3올 이상으로 상하로 교착되어 1완전 조직을 형성하며 평직에 비해서 밀도가 조밀하다. 직물의 표면에 사선으로 달리는 능선이 나타나는데 이것을 사문선(twill line)이라 한다. 능조직은 편면 능조직과 양면 능조직으로 나눈다. 편면 능조직은 표면에 나타나는 경·위사의 정 도가 같지 않은 것으로서 경(經)능조직과 위(緯)능조직이 있다. 양면 능조직은 겉면과 뒷면이 같은 상태의 것으로서 능선의 방향은 반대가 된다. 능직‚ 평직‚ 주자직을 직물의 삼원조직(三原組織)이 라고 한다. 능의 발생은 중국이 가장 오랜 역사를 가졌는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