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모시 적삼

추천0 조회수 1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모시 적삼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홑으로 만든 윗옷. 여름용 적삼과 저고리 밑에 입는 속적삼이 있다. 형태는 저고리와 같으나 고름이 없고 단추로 여민다. 모시·삼베·무명 등으로 만드는데 삼베는 약간 거친 느낌을 주지만 모시는 올이 곱고 시원하다. 특히‚ 세모시로 만든 것은 올이 곱고 아름다워 좋다. 풀을 강하게 먹이고 손질을 잘하여 올이 반듯하게 되도록 다려 입어야 맵시가 난다. 적삼은 통째로 세탁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여자의 저고리(赤古里)는 치마와 함께 일습(一襲)을 이루어 의례용 및 평상용으로 착용된다. 시류(時?)에 따르는 부분적인 변화를 제외하고는 상고시대 상의(上衣)와 하상(下裳)의 기본형이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는 대표적인 전통복식이다. 조선조의 여자저고리는 임진왜란을 계기로 큰 변화를 보이는데 전란 이전의 길이가 길고 품이 넓은 형태는 전란 이후 점차 길이가 짧아지고 품이 작아지는 단소화(短小化) 경향을 보인다. 그 후 영·정조시대 문예부흥기를 맞이하면서 곡선이 강조된 하후상박형(下厚上薄形)의 전통적인 복식미가 완성된다. 단소화 경향은 계속되어 국말에는 가슴이 드러나도록 짧아진다. 여자저고리는 옷감의 재질과 색‚ 장식 등으로 신분과 연령을 구분하였으며‚ 장식 정도에 따라 삼회장저고리·반회장저고리·민저고리로 나눠진다. 바느질 방법에 따라 솜저고리·누비저고리·겹저고리·깨끼저고리·적삼 등으로 구분하여 절기에 맞게 착용하였다. 모시란 모시풀의 줄기껍질로 만든 실로 짠 피륙을 말하며 저마포(紵麻布) 또는 저포(紵布)라고도 한다. 습기의 흡수와 발산이 빠르며 빛깔이 희어 여름철 옷감으로 애용된다. 모시의 생산 지역은 삼베의 전국 분포와는 달리 충청도와 전라도 지역으로 극히 국한적이다. 특히 충청남도 서천 지역의 모시가 품질과 제직 기술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그 중에서도 한산의 세모시가 유명하다. 한산의 세모시 짜기는 중요 무형 문화재로 지정되어 모시의 재배·제사·제직의 기능을 이어가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디지털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EncyKorea)" 박물관종합정보안내 사이트(http://www.korea-museum.go.kr) 네이버 백과사전(http://www.naver.com)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