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연화문 귀주머니

추천0 조회수 43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연화문 귀주머니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자질구레한 물품이나 돈 따위를 넣고 입구를 졸라매어 허리띠에 차거나 들도록 만든 물건. 우리 옷에는 원래 옷 자체에 물건을 넣을 수 있는 호주머니가 없기 때문에 실용적인 면에서 따로 주머니를 만들어 사용하였는데‚ 이것은 또한 장식적인 역할을 겸하여 장식품으로도 사용되었다. ≪삼국유사≫ 경덕왕조에는 “왕이 돌날부터 왕위에 오를 때까지 항상 부녀의 짓을 하여 금낭(錦囊) 차기를 좋아하였다.”라는 기록이 있어 신라 여인들의 주머니 패용(佩用)을 알려주고 있다. ≪고려도경 高麗圖經≫ 부인조에도 “고려 귀가(貴家) 부녀자들은 …… 감람늑건(橄欖勒巾)에 채조(采條)로 금탁(金鐸)을 달고 금향낭 (錦香囊)을 찼는데 많은 것을 귀히 여겼다.”라고 되어 있다. 이로 보아 고려시대에는 주머니를 더욱 즐겨 찼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에 와서는 후기의 유물을 꽤 많이 볼 수 있는데‚ 일반적인 주머니로는 두루주머니와 귀주머니가 있고‚ 일상생활에서의 실용을 위한 것으로는 수저집·필낭(筆囊)이 있으며‚ 장식적인 것으로는 노리개의 형태를 갖춘 향낭(香囊)·침낭(針囊)이 있다. 주머니의 형태는 크게 나누어서 각이 진 귀주머니(혹은 줌치)와 둥근 모양의 두루주머니(혹은 염낭)의 두 종류로 나눌 수 있다. 또‚ 귀주머니는 보통낭·궁낭으로‚ 두루주머니는 고뉴(高紐)·중뉴·저뉴(低紐)로 세분할 수가 있다. 재료는 겉감은 견(絹)이나 무명을 사용하고 안감은 무명이나 질이 낮은 견을 사용하였다. 모양은 백·옥·적·분홍·청·자주·남·담록색 등의 바탕색에 자수를 놓은 것이 많고‚ 각종 금은세공을 장식한 것도 적지 않다. 기록에서 볼 수 있는 주머니는 주로 궁중이나 민간에서 기록한 건기(件記)인 낭발기(囊撥記)에 나타나 있다. 이에 의하면 이들 주머니는 남녀를 막론하고 찼으며‚ 그 신분에 따라 옷감과 색상‚ 부금 (付金)이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이들 발기에 나타난 주머니의 명칭은 십장생줌치·오복꽃광주리낭·십장생자낭·수낭(繡囊)·오방염낭·봉자낭·부금낭·황룡자낭 등 다양하다. 여기에서 왕이 찬 용문양(龍紋樣)의 황룡자낭‚ 왕후나 공주·옹주가 찬 봉문양의 봉자낭 및 기타 부금낭은 지배계급의 권위를 나타내주는 주머니라고 하겠다. 청·황·적·백·흑의 오색비단을 모아 만든 오방낭은 오행론(五行論)에서 나온 주머니이다. 십장생줌치 등은 길상사상(吉祥??)에서 나온 주머니라 하겠다. 이들 주머니는 궁중에서 가례시에 많이 사용되었으며‚ 종친들이나 나인들에게 하사하기도 하였다. 작은 물건이지만 손이 많이 가고 아기자기한 데다가 부적과 같은 뜻을 지녀서 무척 환영을 받았다. 특히‚ 정월 첫 해일에는 볶은 콩 한 알씩을 종이 봉지에 싸서 넣은 주머니를 종친들에게 보내는 풍습이 있었는데‚ 이것은 해일에 주머니를 차면 일년 내내 귀신을 물리치고 만복이 온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이밖에 각종 문양을 수놓아 화려하게 만든 향주머니나 바늘집은 장식의 의미도 있어 노리개로 패용되기도 하였다. 이 외에도 수저집·필낭 등이 있는데 이것은 일상생활에 많이 쓰이는 실용적인 주머니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디지털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EncyKorea)"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