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고비

추천0 조회수 5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고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방이나 마루의 벽에 걸어놓고 편지나 간단한 종이말이 같은 것을 꽂아두는 실내용 세간. <유래 및 발달과정> 고비는 고비(考備‚ 高飛) 등 한자로 표기하는 예가 있으나‚ 이는 취음이다. 조선 후기의 『재물보(才物譜』에서는 고비를 서팔(西?) 이라 하고 따로 지와자(紙窩子)는 ‘고삭고비’라 일컫는다고 하였다. 그 말뜻은 종이고비의 형태일 것으로 추측된다. 조선중기의 저서인 『산림경제(山林經濟)』에서는 서재용품을 열거하는 가운데 죽고비(竹高飛)를 들었는데‚ 이미 이 시대에 선비의 서재용품으로 정착하여 있었음이 확실하다. 현존하는 죽고비의 유물은 대체로 대형에 속하는 편이다. 목제의 고비는 일정한 규격품이 없지만 대개 오동나무 판재로 짠 것이 많고 호화롭게 칠을 하지 않는 대신 앞판에다 음각하여 무늬를 새긴 것이 예사이다. 혹은 앞판을 대마디모양의 가는 나무살로 댄 예도 있다. 그러나 여성용의 고비는 채색으로 무늬를 그리거나 색지를 오려 붙여서 치레한 것도 있다. 고비는 중국‚ 일본의 가구에서 볼 수 없는 우리나라의 독특한 유형으로 우리나라 사람들의 평좌식 주거공간에 적합하게 발달된 것이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가벼운 판자나 대나무 등으로 만드는데 상하가 길게 내리걸도록 되었고 등판과 앞판 사이를 6-9cm쯤 데어 2-3단 가로질러 놓음으로써 개방적으로 비치하는데 편리하게 하였다. 더 소박한 평태의 것은 두꺼운 종이로 주머니나 상자모양으로 만들기도 하고 혹은 종이띠를 멜빵모양이나 X자형으로 벽에 직접 부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본 박물관의 것은 목제고비로‚ 나무의 목리만 나타나도록 인두로 지진 후 볏집으로 문지르는 낙동법을 사용하였고 만자문(卍字文)을 조각하였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고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