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묵죽도

추천0 조회수 51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묵죽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김규진(金圭鎭)이 1920년대에 그린 묵죽도(墨竹圖). <작가설명> 해강(涇岡) 김규진(金圭鎭‚ 1868-1933)의 본관은 남평(南平)으로 평안남도 중화(中和)의 농가에서 태어나 외숙인 이희수(李喜秀)로부터 서화의 기초와 한문을 공부하다가 18세 되던 1885년에 중국에 건너가 8년간 수학하였다. 1893년에 귀국하여 평양에서 <조선국평양성도(朝鮮國平壤城都)>(1895)를 그렸다. 1897년 서울로 올라와 궁내부 외사과(?事課)와 예식원(禮式院) 문서과의 관직을 얻었고 1901년에는 영친왕의 서법(書法)을 지도하는 한편 궁내부 시종(侍從)에 임명되었다. 1906년에는 일본에 건너가 사진기 조작법을 배우고 돌아와 서울에서 사진관을 개설함으로써 그 분야에서도 개척자가 되었다. 1913년 그 사진관에 최초의 근대적 영업화랑인 고금서화관을 병설하여 자신의 서화작품과 다른 여러 명가의 작품을 진열하고 판매 및 주문에 응했으며 고서화도 취급하였다. 또 1915년에 발족한 서화연구회(書畵硏究會)는 근대적 미술교육기관이다. 1918년 서화협회가 결성될때 조석진‚ 안중식‚ 오세창 등과 함께 발기인으로 참여하였으나 그뒤 협회를 떠났다. 1922년 조선미술전람회가 열리자 서예와 사군자부의 심사위원이 되었다. 저서로는 『서법요결(書法要訣)』『난죽보(蘭竹譜)』『육체필론(六體筆論)』 등이 있다. <작품설명> 청나라 유학으로 연마한 대륙적 필력과 호방한 의기를 폭넓게 발휘하여 글씨에서는 전(篆)‚ 예(隸)‚ 해(楷)‚ 행(行)‚ 초(草)의 모든 서법에 자유로웠고 특히 대필서는 당대의 독보적 존재였다. 그림으로는 글씨에서의 필력이 그대로 반영된 묵죽과 묵란 등이 독자적 경지를 이루었다. 또 산수‚ 화조 등의 화제도 다루었다. 이 그림은 묵죽도로‚ 가는 대나무 가지에 위로 뻗는 죽엽을 그려 경쾌한 느낌이 들게 한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김규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