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떨잠

추천0 조회수 49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떨잠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대례복을 입고 큰머리를 할때 머리에 꽂는 장식품의 하나. <유래 및 발달과정> 머리를 장식하는 장신구로 최고(最古)의 기록은 『수서(隋書)』『남사(南史)』『당서(唐書)』의 기록으로‚ 이에 의하면 신라 부인들은 머리를 땋아 동이고 잡채(雜綵)와 구슬(?)로 장식하였다고 한다. 유물로는 백제 무녕왕릉에서 출토된 왕비의 금뒤꽂이가 있다. 고구려 벽화에도 여인들이 머리띠같은 것으로 머리를 동이고 댕기와 함께 머리를 치장한 그림이 있다. 통일신라때는 흥덕왕 복식금제에 장식빗과 장식비녀의 사치를 금한 내용이 있고 또 유물도 출토되고 있다. 고려때는 『고려도경(高麗圖經)』에 의하면 여자들이 출가 전에는 홍색 나(羅:댕기)로 머리를 묶었고 출가 뒤에는 머리를 틀어서 홍라로 묶고 작은 비녀를 꽂았으며 남은 머리는 뒤로 늘였다고 한다. 조선시대에는 댕기‚ 비녀‚ 뒤꽂이‚ 떨잠‚ 첩지 등이 수식에 이용되었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떨잠은 ‘떨철반자’라고도 한다. 모양은 중앙에 꽂는 나비 모양을 한 선봉잠과 양쪽에 꽂는 둥근 모양의 반자가 있으며 사각모양의 것도 있다. 재료는 옥판을 조각하여 판을 만들고 뒤쪽에는 동으로 만든 납작한 머리꽂이‚ 앞의 장식은 진주‚ 산호‚ 비취‚ 칠보를 부착하였으며 또 칠보로 만든 적은 나비를 위에 단 용수철을 옥판 사방에 달아 움직일 때마다 흔들리게 하였다. 큰머리를 할 때에는 검정색 공단 속에 솜을 넣어 만든 어염족두리를 이마 뒤에 오도록 쓰고 어여머리를 얹은 다음‚ 선봉잠은 앞 중앙머리에 꽂고 반자는 눈높이 정도에서 좌우에 하나씩 꽂는다. 이처럼 큰머리를 할 때에는 떨잠의 장식이 3개 필요하다. 본 박물관의 이 유물은 금도금을 했으며 옥‚ 진주‚ 산호 등을 부착하였으며 꽃모양의 용수철을 달아 흔들리게 하였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떨잠‚ 수식(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9)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