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지평일구

추천0 조회수 38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지평일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수영면(受影面)이 수평적 평면을 이룬 조선시대 해시계의 일종. <유래 및 발달과정> 해시계는 인간이 발명한 가장 원초적인 시계이다. 마당에 세운 기둥은 하루 동안의 시간외에도 1년의 길이를 알게 해준다. 우리나라의 해시계가 언제부터 사용되기 시작하였는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삼한시대에 하늘에 제사지내는 곳을 소도라 하고 거기에 솟대를 세웠다는 사실에서 솟대가 원시적인 해시계 구실도 하였을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유물로 남아있는 해시계로는 7세기 이후 신라의 해시계 일부로 보이는 돌 파편이 국립경주박물관에 보존되어 있다. 삼국시대의 일관(日官)‚ 일자(日者) 등과 통일신라시대의 누각전(漏刻典)은 해시계를 담당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분명한 기록으로 해시계가 나타난 것은 15세기초 조선 세종때에 이르러서이다. 1437년까지 세종은 여러 해시계를 만들었는데‚ 앙부일구(仰釜日晷)‚ 현주일구(懸?日晷)‚ 천평일구(?平日晷)‚ 정남일구(定南日晷) 등이 그것이다. 또 일성정시의(日星定時儀)와 그것을 조그맣게 만든 소정시의(小定時儀)도 만들었는데 모두 낮에는 해시계로‚ 밤에는 별시계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때 제작된 해시계들은 임진왜란 등을 거치면서 모두 소실되었다. 17‚ 18세기 현종과 숙종 대에 이르러 조선 천문학이 새롭게 발전하면서 세종 때의 앙부일구가 다시 복구되었고‚ 휴대용의 소규모 앙부일구도 다시 제작되었다. 한편 인조 대에는 이와는 다른 새로운 형식의 해시계가 나타났는데‚ 신법지평일구(新法地平日晷)가 그것이다. 이 해시계는 중국인 이천경(李?經)이 서양식 역법인 시헌력법에 따라 제작한 것인데 우리 나라에는 인조 14년에 전해졌다. 그리고 이를 모델로 하여 세종 때의 전통적인 해시계들과는 다른 형태의 해시계들이 다수 제작되었다. 또한 정조 9년에는 서양 천문학의 영향을 받은 또 하나의 평면 해시계가 만들어졌는데‚ 간평일구와 혼개일구가 그것이다. 이외에도 19세기 후반에 강윤과 강건에 의해서 서양 천문학의 영향을 받은 평면 해시계들이 제작되기도 하였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1789년(정조13)에 감관 김영(金泳‚ ?-?)이 처음으로 만들었다. 재료는 보통 대리석‚ 오석(烏石) 등을 썼다. 영침(影針)은 수영면에 수직이 되게 세워두기도 하고 천구북극(?球北極)을 향하도록 세워두기도 한다. 영침을 비스듬히 꽂으면 수영대와 유리되기 쉬우므로 영침대신 직각삼각판이나 이와 비슷한 판자를 수영대에 부착시킨다. 이때 직각삼각형의 빗변은 항상 천구북극을 향하게 하고 삼각판의 면은 자오면과 일치하도록 남북선에 맞추어서 바로 세워야 한다. 태양의 일주운동은 항상 이 삼각판의 빗변족문화대백과사전-지평일구‚ 해시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을 아침에는 서쪽에 그림자를 보내고 저녁에는 동쪽으로 보낸다. 그림자와 삼각판의 밑변이 만드는 각은 시간의 변동에 따라서 점차로 변하여 간다. 따라서 이것으로 시각을 측정할 수 있다. 큰 지평일구에서는 수영면에 삼각판의 꼭지점이 던지는 그림자의 궤적을 그려놓기도 한다. 이 궤적은 계절에 따라 다른데‚ 한 계절마다 한개의 금‚ 즉 등절후곡선(等節候曲線)을 그어둔다. 그 금은 포물선의 모습이 된다. 영침을 수평이 된 수영판에 바로 꽂았을 때에는 그 영침 끝의 위치로 시각을 알며 동시에 계절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영침의 그림자 전체가 시각을 알려주는 것은 아니고 그 끝만이 시각을 알려준다. <참고문헌> 한국민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