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분청사기 인화문 접시

추천0 조회수 14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분청사기 인화문 접시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분청사기로 만들었고 운두가 낮고 납작한 그릇. <유래 및 발달과정> 분청사기의 태토는 청자의 태토와 유사하나 한층 더 흑회색을 띠고 있다. 유약은 청자에 비하여 철분의 함유량이 적으며 담청색의 청자유와 황색을 띤 투명한 백색 유약으로 시유되었다. 분청사기의 또다른 특징은 백토의 분장기법이다. 백토의 분장기법은 중국에서는 오대(五代‚ 907-960)‚ 북송대(北宋代‚ 960-1126)에 걸쳐 자주요(磁州窯)일대에서 유행했으며 관기(官器)보다는 민간용으로 생산되었다. 조선시대의 분장기법은 무늬를 나타내는 수단이기도 하며 그릇 표면을 백토로 씌워 백자로 이행되는 과정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와 함께 다양한 기법이 고안되어 율동감 있고 활달한 분청사기만의 특징을 나타내게 되었다. 분장기법을 발생순서에 따라서 살펴보면 인화기법(무늬를 새긴 도장을 찍는 기법)‚ 상감기법(음각으로 문양을 판 뒤 다른 색깔의 흙을 채우는 기법)‚ 음각기법‚ 박지기법(무늬나 무늬이외의 부분을 긁어내는 기법)‚ 철화기법‚ 귀얄기법(힘있고 빠른 속도로 백토분장하는 기법)‚ 덤벙기법(힘있고 빠른 속도로 백토분장하는 기법) 등으로 발전하였다. 분청사기의 무늬는 활달하고 민예적인 것이 특색이다. 무늬로는 모란‚ 모란잎‚ 모란당초‚ 연화‚ 버들‚ 국화‚ 당초‚ 인동‚ 파초‚ 물고기‚ 어룡‚ 화조무늬 등이 주로 시문되었으며 그밖에 나비‚ 매화‚ 빗방울‚ 여의두‚ 돌림무늬 등도 있다. 기형은 고려말 청자의 기형을 토대로 율동적인 형태로 변형하고 있으며 안정감이 있는 실용적인 기형들이 많다. 특히 장군‚ 자라병‚ 편병‚ 매병 같은 병 종류가 등장한다. <일반적인 형태 및 특징> 이 유물은 조선초기의 것으로 입술부분 안팎은 승석문으로 넓게 두르고 나머지 부분은 점열문으로 빽빽하게 인화하였다. 내면 중앙에는 두개의 국화문으로 장식하고 `내섬(內贍)`이라는 명문을 새겨놓았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분청사기(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분청사기명품전(粉靑沙器名品展)Ⅱ』(호암미술관‚ 2001) 『분청사기(粉靑沙器)』(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198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