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맹자

추천0 조회수 75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맹자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김기승이 1964년 해서체로 쓴 맹자의 글 <작가설명>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덕경(德卿)‚ 호는 원곡(原谷). 아명은 기두(基斗)이다. 1909년 충청남도 부여군 홍산면(鴻山面)에서 김정환(金正煥)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려서 천자문을 비롯하여 소학·대학·논어·맹자·서전(書傳)을 공부하고 당시(唐詩) 등의 고전을 익혔다. 공주고등보통학교 2학년 때 일본인 체조교사를 배척하는 동맹휴학의 주동학생으로 지목되어 서울의 휘문고등보통학교로 전학하였다. 1926년 중국으로 건너가 1932년 상해(上涇)의 중국공학대학(中國公學?學) 경제과를 졸업하였고 1946년 4월 중국에서 영구 귀국한 뒤 손재형(孫在馨) 문하에 들어가 본격적인 서예공부를 시작하였다. 1949년 제1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이하 ‘국전’으로 약칭) 서예부에 특선하였고 1953년의 제2회 국전에서 1955년 제4회 국전까지 잇달아 서예부 특선을 차지하였다. 1955년에는 대성서예원(?成書藝院)을 설립하였고‚ 국전 5회부터 7회까지 추천작가로 출품하다가 1959년부터는 국전 심사위원 및 운영위원을 맡았다. 이후 문교부 문화재보존위원‚ 서울특별시 문화위원‚ 문교부 교육과정 심의위원‚ 한국미술협회 이사‚ 서예분과 위원장‚ 한국미술협회 고문 등을 역임하였다.1978년 원곡서예상(原谷書藝賞)을 제정하였고‚ 1979년에는 한국기독교미술협회에서 원곡미술상을 제정하여 우수한 신인작가를 발굴하고 있다. 주요 작품으로 독립선언서‚ 안창호선생비문‚ 민충정공두전‚ 유관순열사봉화탑 등이 있으며‚ 저서에 《한국서예사(韓國書藝史)》 《원곡서문집(原谷書文集)》 《신고한국서예사(新稿韓國書藝史)》 《원곡서문2집(原谷書文二集)》 등이 있다. <작품설명> 김기승의 작품에서 풍기는 문자향과 서권기의 여운은 어떤 글씨체의 형식이나 글자의 형태에 앞서 항상 새롭고 율동적인 필세와 개성적인 감각을 보여주고 있다. `得?下英才敎育`는 맹자(孟子)가 "맹자(孟子)"〈진심편(盡心篇)〉에서 한 말씀으로 君子有三樂(군자유삼락:군자의 세가지 즐거움)에 대한 논의 중에 나왔다. 그 첫번째가 父母俱存 兄弟無故 一樂也 (부모구존 형제무고 일락야:양친이 살아계시고 형제가 무고한 것)이고‚ 두번째는 仰不愧於? 俯不作於人 二樂也(앙불괴어천 부불작어인 이락야:하늘을 우러러 부끄럽지 않고‚ 굽어보아도 사람들에게 부끄럽지 않은 것)‚ 세번째가 得?下英才 而敎育之 三樂也(득천하영재 이교육지 삼락야:천하의 영재를 얻어서 교육하는 것)라고 하였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