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황도북항성도

추천0 조회수 107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황도북항성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지상에서 관측한 천체의 위치를 그린 그림 <유래 및 발달과정> 명(明)나라 때 서양의 예수회 선교사들이 망원경과 천문서적을 가지고 와 동양과 서양의 천문도를 비교하는 작업을 시작하였다. 그 결과 동양의 전통적인 천문도에서 동양에서 관찰할 수 없는 남쪽의 별을 없애고‚ 그때까지 알지 못했던 남극에 가까운 별을 그려넣은 새로운 천문도를 제작하였다. 이런 천문도는 사신에 의해 우리 나라에도 들어오게 되었다. 조선의 관상감이 서양의 영향을 받아 만든 천문도는 신법천문도(新法?文圖)라고 불렀다. 이렇게 새로운 방식으로 만들어진 천문도에는 해와 달의 표면‚ 수성과 금성의 궤도 변화‚ 목성과 토성의 위성이 소개되어 있다. 또한 별의 밝기를 나타내는 등급을 표시하였다. <일반적인 형태와 특징> 황도남북항성도는 원래 독일인 쾨글러(Kogler. I.‚ 戴進賢)가 1723년에 작성한 것으로 순조 34년(1834)에 김정호가 복각한 것이다. 황도북항성도와 황도남항성도의 두 쪽으로 되어 있는데 "도광갑오 태연재간(道光甲午 泰然齊重刊)"이라는 간기가 있다. 쾨글러가 작성한 300좌‚ 3083성의 대성표(?星表)를 영조 18년(1742)에 김태서와 안국빈이 중국에서 직접 배워 와 관상감에서 모사하여 만든 8폭 병풍의 <신법천문도(新法?文圖)>가 있다. 이 황도남북항성도는 <신법천문도>를 축소한 목판본이라고 할 수 있다. 황도 북극과 황도 남극을 중심으로 지름 31cm인 원 안에 따로 그렸다. 그 안에 별을 *표로 나태내고 등급을 一‚ 二‚ 三‚ 四‚ 五‚ 六氣(星雲)로 나누었다. 이 유물은 황도남북항성도 중 북항성도이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황도남북항성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박물관 명품 도록(성신여자대학교 박물관‚ 2002)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