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혼천전도

추천0 조회수 34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혼천전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지상에서 관측한 천체의 위치를 그린 그림 <유래 및 발달과정> 명(明)나라 때 서양의 예수회 선교사들이 망원경과 천문서적을 가지고 와 동양과 서양의 천문도를 비교하는 작업을 시작하였다. 그 결과 동양의 전통적인 천문도에서 동양에서 관찰할 수 없는 남쪽의 별을 없애고‚ 그때까지 알지 못했던 남극에 가까운 별을 그려넣은 새로운 천문도를 제작하였다. 이런 천문도는 사신에 의해 우리 나라에도 들어오게 되었다. 조선의 관상감이 서양의 영향을 받아 만든 천문도는 신법천문도(新法?文圖)라고 불렀다. 이렇게 새로운 방식으로 만들어진 천문도에는 해와 달의 표면‚ 수성과 금성의 궤도 변화‚ 목성과 토성의 위성이 소개되어 있다. 또한 별의 밝기를 나타내는 등급을 표시하였다. <일반적인 형태와 특징> 혼천전도는 조선 후기에 작성된 목판인쇄 천문도이다. 천상열차분야지도의 전통적인 내용에 서양 천문도에서 받아들인 내용을 함께 담았다. 가운데 성좌를 그리고‚ 그 위쪽에는 칠정주천도(七政周?圖 : 해‚ 달‚ 토성‚ 목성‚ 화성‚ 금성‚ 수성의 망원경 관측도)‚ 일월교식도(日月交食圖 : 일식과 월식의 원리를 나타낸 것)‚ 24절기태양출입시각도(二十四節?陽出入時刻圖)가 있고‚ 아래쪽에는 24절신혼중성(二十四節晨昏中星)‚ 칠정신도(七政新圖)‚ 현망회삭도(弦望晦朔圖)‚ 칠정고도(七政古圖)가 있다. 혼천전도는 망원경으로 관측한 칠정이 처음 소개된 천문도라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혼천전도(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한국천문학사(서울대학교출판부‚ 2002)‚ 박물관 명품 도록(성신여자대학교 박물관‚ 2002)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