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화엄사국일도대선사벽암비(華嚴寺國一都?禪師碧巖碑)-表(앞)

추천0 조회수 30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화엄사국일도대선사벽암비(華嚴寺國一都?禪師碧巖碑)-表(앞)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1. 정의(개요) 이 화엄사국일도대선사벽암비(華嚴寺國一都?禪師碧巖碑) 탁본은 전남 구례군 화엄사에 있는 벽암대선사에 관한 비의 앞면이다. 2. 특징 벽암대사(1575-1660)는 이름이 각성(覺?)으로 속성은 김씨이다. 충북 보은 사람으로 14세에 출가하였다. 임진왜란때 승병으로 해전에 참여하였으며‚ 전후에는 송광사‚ 화엄사‚ 쌍계사의 복구불사에 헌신했다. 인조때 남한산성을 쌓아 팔도도총섭이 되었고‚ `보은천교원조국일도대선사`라는 시홀르 받았다. 그뒤 사신으로 일본에 가다가 병으로 중도에 사퇴‚ 화엄사에서 입적하였다. 이 비는 대사가 입적한후 3년만에 세워졌다. 비는 특이한 귀면(鬼面)이 조각된 이수와 비신‚ 귀부를 완전히 갖춘 석비이다. 이 탁본은 비신 전면으로‚ 전면에는 전액과 비제명을 쓰고 벽암선사의 행상(行狀)을 기록하였다. 비문의 내용을 보면 전액은 조계원이 쓰고 글씨는 오위도총부 오준이‚ 비문은 당시 영의정이었던 이경석이 지었다. 전액은 `국일대선사비명`이라 하여고‚ 비제는 `사보은단교원조국일도대선사벽암비명병서`라 하였다. 3. 참고 목포대학교박물관‚ <구례군의 문화유적>‚ 1994.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