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용담유사 (龍潭遺詞)

추천0 조회수 104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용담유사 (龍潭遺詞)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1. 정의(개요) 동학(東學)의 교조(敎祖) 수운(水雲) 최제우(崔濟愚:1824∼1864)가 엮은 포교가사집(布敎歌詞集)이다. 2. 특징 1860년(철종 11)에 지은 《용담가》《안심가(安心歌)》《교훈가(敎訓歌)》를 비롯‚ 1861년에 지은《도수사(道修詞)》《검결(劒訣)》《몽중노소문답가(?中老少問答歌)》‚ 1862년에 지은 《권학가(勸學歌)》‚ 1863년에 지은《도덕가(道德歌)》《흥비가(興比歌)》 등 9편의 가사를 모아서 엮은 책이다. 제2세 교주인 최시형(崔時亨)이 1881년(고종 18) 6월 충북 단양군 남면 천동(泉?) 여규덕(呂圭德)의 집에서 간행케 한 것이 있고(1책‚ 필사본)‚ 1932년 《룡담유》라는 제목으로 김주희(金周熙) 등의 동학가사를 더하여 한데 엮어서 인간(印刊:1책‚ 37장)한 것이 있다. 서양세력의 동점(東漸)에 깊은 우려를 나타내고 이에 맞서기 위한 정신자세로서 동학을 내세운다는 뜻이 주가 되어 있다. 일반 민중과 부녀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한글 가사체(歌辭體)를 빌려 동학의 사상을 펼쳤는데‚ 형식이나 문체는 비록 고전 가사와 같지만 개화기의 문체를 처음으로 다루었다는 점에서 개화기 가사의 효시가 된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