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십이지번"소"(十二支幡"丑")

추천0 조회수 33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십이지번"소"(十二支幡"丑")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도량장엄(道場裝嚴)의 하나로서 절에서 큰 행사를 할 때 잡귀의 침범을 막는 벽사(闢邪)의 뜻으로 12방위에 걸었던 불화(佛畵)이다. 오른손으로 검을 들고 오른발을 높이 들어 올린 전신(全身) 우안(右顔)의 수면인신상(?面人身像)의 소의 모습이다. 얼굴은 육색(肉色)으로 채색되고 먹선묘(墨線묘)로 이목구비를 구획한 후 담묵(?墨) 선묘(線描)로 모근(毛根)을 표현하였다. 머리 위로 하얀 뿔이 두개 있으며 담청색(?靑色) 눈자위에 검은색의 눈동자로 표현된 눈은 이빨이 약간 보이는 입등과 더불어 아주 순해보인다. 황색(黃色) 항건‚ 가장자리가 먹색으로 마감된 적색(赤色) 상의(上衣)‚ 녹색(綠色) 요의(腰衣)‚ 적색(赤色)의 흉갑(胸甲)을 착의하였는데 보록 전답에는 원문(圓文)이 시문되었다. 녹화(綠靴)를 신고 적색(赤色)과 청색(靑色)의 양면 천의가 머리위에서 두광(頭光)처럼 한번 둘러져 한쪽은 위로 나머지는 아래로 향하는데 그 곡선이 지극히 장식적이다. 의습선(衣褶線)은 굵은 선묘로 간략하게 구획하였다. 검(劍)은 무장형이라기 보다는 형식적으로 갖춘 의미로서 병부에 장식이 되어있고 검신부(劍身部)는 날카롭고 단단한 금속성의 물질이라기보다는 휘어지는 부드러운 물질의 소재로 표현 되었다. 도상 자체의 이미지를 모티브로 얼굴과 자세‚ 무기등에서 느껴지는 분위기는 아주 정적이면서도 주조색인 적색(赤色)‚ 고채도(高彩度)의 석채안료(石彩顔料)를 사용해 선명하고 밝은 화면 분위기를 형성하고 있는 작품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