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착색렌즈

추천0 조회수 85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착색렌즈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빛의 색깔을 이용하여 신호를 보낼 때 렌즈‚ 렌즈에 녹색의 피막이 형성되어 있다. <발달과정 및 역사> 등대는 그의 역할에 따라서도 구분된다. 인도하는 빛이 있는데‚ 이 경우 항구로의 안전한 유도를 위하여 두 개의 빛의 상부가 일직선상에 있어야 한다. 빔 빛(Beam light)은 선원들이 항로 바꿀 시기를 알려준다. 서로 다른 경보기능을 가지고 있는 방향지시 등대가 있다. 예를 들면 붉은 지역의 항해는 피해야 하면‚ 녹색지역은 직진할 수 있다는 식이다. 적색 지역과 백색지역을 명확하게 구분하여 볼 수 있다. 빛의 특성 즉‚ 반복주기라든지 식별 신호도 또한 표시되어 있다. 1858년에 전력을 사용하는 최초의 전구가 설치되었다. 직후에 자동화가 시작되었다. 오른쪽 우표에서 스웨덴의 가스페텐 등대를 볼 수 있다. 1906년에 이 등대의 불꽃은 꺼지지 않고 6개월 동안이나 탔다. 오늘날에는 거의 모든 등대들이 자동으로 운영되고 있다. 고전적인 등대지기의 일이 이제는 옛날 일이 되어가고 있는 것이다. 현재 탈린 등대는 원자력까지 활용하여 운영되고 있다. 많은 등대가 태양 에너지를 활용하고 있다. 레이저 광을 활용한 실험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 레이저 광선을 안개 등의 이유로 시계가 좋지 않을 때도 기존의 빛보다 훨씬 잘 보인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오늘날 등대는 여러 가지 기능을 한다. 밤에는 가시광선을 내보내고 낯에는 바닷길의 고정된 항해목표가 된다. 등대의 장비에는 시계가 좋지 않은 날씨에 경보신호를 내보내는 안개나 태풍 주의경보기가 포함된다. 무선 위치측정을 위한 무선 신호도 있다. 즉 데카 앤 로란 항법 말이다. 이것은 기상대 역할을 하며 어떤 등대에는 래콘(무선 신호기)이 설치된다‚ 어떤 등대는 풍속과 풍향을 나타내는 기기를 가지고 있으며‚ 어떤 등대는 12시간의 시각을 나타내는 용도로‚ 어떤 등대는 인도용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참고문헌> www.naver.co.kr(네이버백과사전)‚ 브리테니커백과사전. www.lighthouse.co.kr(등대지킴이).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