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유니트 혼

추천0 조회수 100 다운로드 수 0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유니트 혼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전자석으로 특수금속판을 진동시켜 취명하는 전자식으로 300-500KHZ의 저주파로서 음향을 발사하는 전자식 무신호기의 발음부. <발달과정/역사> 한양전자공업사에서 제작하였다. 저음용 혼스피커는 영구자석을 이용한 스피커 유니트와 반도체로 이루어진 고출력 앰프의 등장으로 하이파이 분야에서 거의 사라졌으나‚ 중음용·고음용은 지금도 많이 쓰인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진동판과 공간 사이에 혼을 붙여서 전기 음향 변환효율을 높인 스피커. 돔형 스피커와 비슷한 드라이브 유닛에 혼을 장치한 스피커로 소리를 효율적으로 멀리까지 보내기 위해 사용하는 메가폰의 원리를 이용하였다. 일반적으로 중‚ 고음용으로 사용되었다. 신호기는 전기혼을 설치하여 교류전원(220V)을 인바터에 의해 직류전원(100V)로 변환시켜 반도체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음파로 변환시켜 나팔을 통하여 소리를 나게 한다. 나팔 1개에 유니트(75W) 3개를 조립하고 나팔 7개를 조합 한 발음기 8개를 설치하여 3마일 음달거리로 운영한다. 혼 개구부의 크기가 작을수록 낮은 음이 차단되고 고음은 잘 들린다. 공기를 진동하는 드라이브와 그 소리를 끌어내어 넓게 퍼뜨리는 혼으로 이루어지며‚ 일체형과 분리형이 있다. 진동판이 혼을 통해서 공기와 가까이 이어져 있어서 진폭이 매우 작다. 공기와의 음향 어울림이 좋으므로 효율이 뛰어나고 음을 재생할 때 나타나는 왜곡이 적다. 진동판은 대부분 둥근 껍질 모양이고 크기가 작다. 재료로는 알루미늄 합금이나 면포·마포 등에 페놀수지를 넣어 단단하고 강하게 합성한 것을 사용한다. 종류에는 코니컬형(conical)·지수형(expoential)·하이퍼볼릭형(hyperbolic)이 있는데‚ 지수형이 여러 면에서 뛰어나 가장 많이 쓰인다. 코니컬형은 왜곡이 적으나 낮은 음의 재생능력이 떨어지고‚ 하이퍼볼릭형은 낮은 음의 효율이 좋으나 공기 흐름에 부하가 커서 왜곡이 심하다. 출력 음압 레벨은 콘스피커보다 10dB 정도 높아 104∼110dB이고‚ 허용입력은 10∼50W이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