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대양항로지

추천0 조회수 95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대양항로지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태평양‚ 인도양‚ 대서양 및 카리브해와 지중해 등 대양항해를 하는 선박의 항해용 서지로 해상기상‚ 해상상태‚ 항로‚ 항해 시 주의사항 등을 수록한 서지이다. <발달과정/역사> 교통부 수로국에서 1993년에 간행하였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대양항해를 하는 선박의 항해용 서지로 교통부 수로국에서 1993년에 간행하였다. 320쪽으로 구성되었다. 항로지란 바다의 향도 안내기라고 할 수 있는 것으로서 해상의 모든 현상‚ 항로‚ 항만‚ 지형‚ 시설‚ 법규 및 연안의 상황 등을 상세하게 기재하고 있으며‚ 해도의 내용을 설명하면서 해도에서는 표현할 수 없는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고 해도와 더불어 아주 중요한 서지이다. 우리나라의 항로지는 동해·남해·서해안 편의 3종으로 구분되어 있다. 또한 항로지는 개판‚ 추보 등으로 최신 현황에 맞도록 유지되고 있다. 1.총기에는 해당 항로지 구역 전반에 대하여 기상‚ 해상기상‚ 항로‚ 항만‚ 지자기‚ 관계법규‚ 도선‚ 통신(일반통신‚ 항행경보‚ 기상통보 등)‚ 신호‚ 표지시설‚ 해난구조기관‚ 경계(사격훈련구역)등에 관하여 개략 기재되어있다. 2.항로기에는 주항로‚ 분리항로‚ 기타 항로로 나누어 항로부근의 기상‚ 해상기상(필요한 경우 조류도)‚ 목표‚ 험초 및 장애물‚ 침로법 및 주의사항 등이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고 또한 중요한 개소의 대경도‚Radar 영상도 등도 기재되어 있다. 3.연안기에는 연안을 소구역으로 나누어 그 연안의 개요‚ 기상‚ 해상기상‚ 목표‚ 험초‚ 어망‚ 묘지‚ 침로법등이 기재되어 있다. 4.항만기에는 항만별로 그 개요‚ 기상‚ 해상기상‚ 출입항에 필요한 목표‚ 장애물‚ 양식시설‚ 침로법‚ 도선‚ 항박제한‚ 항만시설·수리·보급관계 등‚ 항해자에 필요한 사항이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항로란 바다를 통로로 선박이 지나다니는 길을 말한다. 뱃길이라고도 한다. 원칙적으로는 2지점간 최단거리를 택하지만 지형·기상·해상·경제·항해기술 등 여러 조건에 제한을 받기 때문에 배의 통행이 가장 쉬운 항로가 선정된다. 항로를 분류할 때 해안에서 떨어져 있는 정도에 따라 해양항로와 연안항로로 나뉜다. 해양항로는 세계 최대의 해상 수송량을 갖는 유럽·북아메리카간 북대서양항로 이외에 남대서양항로‚ 북태평양항로‚ 아시아·유럽항로 등이 있다. 연안항로는 해안 가까이 운행되는 항로로 주로 철선·전용선·컨테이너선 등이 운행되고 있다. 또 수송 주체에 따라 여객항로와 화물항로로 나뉘며 여객항로는 다시 연안간‚ 육지·도서간 항로‚ 관광항로를 포함한 일반항로와 명령항로로 나뉜다. 명령항로는 정치·경제상 필요에 의하여 정부에서 보조금을 주거나 세금을 변제하는 특권을 주면서 해운업자에게 경영을 명령하는 항로이다. 그 밖에 정기항로와 부정기항로가 있고 항해하는 선박의 종류·크기에 따라 화물선 항로·탱커 항로·여객선 항로·대형선 항로·소형선 항로 등과 운송상 역할에 따라 간선항로(幹線航路)·지선항로(支線航路) 등이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