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중추식등명기용기어

추천0 조회수 86 다운로드 수 3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중추식등명기용기어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중추식등명기용기어이다. <발달과정/역사> 제작자·제작년도 미상 <일반적 형태 및 특징> 등명기란 가스 또는 전구를 사용한 광원에서 나온 빛을 렌즈 또는 반사경을 이용하여 굴절 반사시켜 빛을 모아 외부로 방사하는 조명기구이다. 기어란 마찰차의 접촉면에 있는 이가 잇따라 맞물려 운동을 전달하는 기계 장치를 말한다. 2개 또는 그 이상의 축 사이에 회전이나 동력을 전달하는 데 쓰이며‚ 1개의 기어만이 아니라 1조로 된 것을 가리킬 때도 있다. 동력을 전달하는 기계장치에는 기어 외에 벨트·체인·링크장치·마찰전동장치 등이 있다. 기어는 소형이고 정확히 운동을 전달할 뿐 아니라 수명이 길고 큰 동력을 전달할 수 있으며 효율도 좋아 기계장치에 널리 쓰이고 있다. 동력을 전달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두 축에 원판을 부착시켜 그 외주(?周)를 서로 맞닿게 하는 것이지만 회전수가 증가하거나 접촉 압력이 낮을 경우 원판 주위에 미끄러짐이 생겨 정확한 전달을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양쪽 바퀴 주변에 같은 간격으로 돌기를 만들고 그들을 서로 맞물리게 하면 회전수가 많아져도 미끄러짐 없이 큰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기어에는 모양·크기 등에 따라 매우 많은 종류가 있다. 지름 1.5㎜ 정도의 시계용인 것부터 선박용 감속장치 등에 쓰이는 지름 수 m의 큰 것도 있어 공작 기계 및 차량을 비롯한 모든 종류의 기계에 쓰이고 있다. 기어의 재료로는 철·놋쇠 등의 금속과 나일론·합성수지가 있다. 금속제 기어에는 주조하여 만드는 것도 있으나 대부분은 기어 절삭용 공작기계를 써서 절삭 가공한다. 기어를 절삭하는 기계를 총칭하여 기계절삭기라고 하는데 치형셰이퍼‚ 호빙머신 등 여러 종류가 있다. 치형절삭법에는 크게 나누어 형판법(型板法)·성형법(成型法)·창성법(創成法) 등이 있다. 형판법은 톱니의 모양을 한 형판을 모방하여 공구로 톱니를 절삭하는 방법인데‚ 절삭 능률이 나빠 대형 기어를 만들 때 외에는 쓰이지 않는다. 성형법은 1개의 톱니홈 모양의 밀링커터를 써서 밀링기계로 절삭한다. 창성법은 절삭되는 기어와 정확하게 물리는 래크(rack)나 기어 치형과 같은 윤곽의 커터를 기어 소재와 맞물리게 하면서 상대운동을 시켜 연속적으로 절삭해가는 방법이다. 현재의 절삭용 기계는 거의 이 방법에 따르고 있다. 호빙머신은 원통 외주를 따라 나사모양의 날이 있는 호브로 절삭하며 스퍼기어·헬리컬기어·2중헬리컬기어·웜휠 등을 제작하는 가장 일반적인 절삭기계로 세로 호브기와 가로 호브기가 있다. 웜과 웜힐이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호브가 회전하고 기어 소재도 회전하면서 치형이 절삭된다. 호브에는 스퍼기어용 호브·웜휠용 호브 및 스플라인 축의 절삭에 쓰이는 특수 호브가 있다. 기어는 전조(轉造)에 의해 제작되기도 하는데‚ 기어 모양의 다이스 사이에 소재를 통과시켜 소성가공으로 기어를 만드는 방법으로 소재를 가열하지 않고 행하는 냉간전조(冷間轉造)가 있다. 생산능률‚ 피치의 정밀도‚ 톱니면의 내마모성 등이 좋으나 전조할 수 있는 소재가 한정되어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