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오실로스코프

추천0 조회수 145 다운로드 수 4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오실로스코프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전기진동처럼 시간적 변화가 빠른 현상을 관측하는 장치. 브라운관의 형광면 위에 영상을 포착하므로 브라운관 오실로스코프 또는 음극선 오실로스크프라고도 한다. <발달과정/역사> 일본국 Leader electronics corp.에서 1982년에 제작하여 1982년-1990년까지 사용하였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전자장비를 수리할 때 사용하는 테스터의 일종으로 일본국 Leader electronics corp.에서 1982년에 제작하여 1982년-1990년까지 사용하였다. 재질은 외함철재이다. 전자빔을 피측신호(被測信號)에 비례하는 전기장으로 편향시키고‚ 이것을 형광면에 충돌시켜 파형을 그리게 하여‚ 시간과 함께 급속히 변화하는 신호를 관측 또는 기록하는 장치의 일종이다. 전자의 관성은 매우 작고 수백㎒의 고주파 신호까지 관측할 수 있기 때문에 고속현상의 관측‚ 파형의 분석‚ 과도현상의 기록·관측 등 전기계측의 모든 분야에 사용된다. 전자빔을 얻는 데는 냉음극을 이용하는 고압형과 열음극을 이용하는 저압형이 있다. 저압형은 흔히 브라운관오실로그래프라고 하는데‚ 요즘은 브라운관의 진보에 따라 오실로스코프라고 하면 거의 이것을 뜻한다. 오실로스코프는 눈으로 직접 형광면상의 파형을 관측할 수 있으며‚ 또 사진촬영에 의한 기록 등도 할 수 있다. 브라운관은 전자빔의 편향 방법에 따라 전자기편향(電磁氣偏向)과 정전기편향(靜電氣偏向)으로 나뉜다. 전자기편향은 편향코일의 인덕턴스와 전력손실이 크기 때문에 불규칙하게 변화하는 신호파형을 잘 나타내기 어렵다. 이 때문에 휘도변조를 이용하는 텔레비전 이외에는 잘 사용되지 않고‚ 오실로스코프에는 정전기편향이 널리 사용된다. 보통 반복되는 파형을 관측할 때는 브라운관의 수평편향판 사이에 톱니파전압(시간과 함께 직선적으로 증가하는 파형)을 가하여 형광면상의 광점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수평이 되게 일정한 속도로 이동시키고(스위프라고 한다) 그 동안에 입력신호를 수직편향판 사이에 가하여 파형을 그릴 수 있다. 스위프의 주기를 입력신호의 주기와 일치시키거나 또는 정수배로 하면‚ 위의 동작이 반복되어 1주기 또는 정수배주기의 파형을 브라운관면상에 정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는 일정한 주기가 없는 불규칙한 파형의 관측이나 입력신호 파형의 부분적인 확대는 곤란하다. 이것을 가능하게 한 것이 트리거스위프방식이다. 트리거스위프방식은 싱크로스코프라고도 하는데‚ 톱니파전압발생회로 앞에 게이트신호발생회로를 설치하여 입력신호가 있을 때만 동기펄스(게이트신호)를 발생시켜 톱니파전압발생회로를 시동시킨다. 결국 미리 설정되어 있는 수준 이상이 입력되지 않으면 스위프는 일어나지 않고‚ 광점은 브라운관면상에서 왼쪽 끝에 정지해 있기 때문에 단발(單發)의 현상과 불규칙한 현상의 관측도 쉽게 할 수 있다. 또 지연회로(遲延回路)를 게이트신호발생회로 앞에 설치한 것은 파형의 중간부터 스위프를 시작할 수 있기 때문에 그 부분을 자세히 관측할 수 있다(지연스위프라고 한다). 또 지연회로를 수직축증폭회로 앞에 설치하면 입력신호의 시작 부분이 브라운관면 중앙으로 이동해 그 부분을 충분히 확대‚ 관측할 수 있다. 현재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전형적인 예는 4가지이다. ①전압의 측정: 내장된 교정전압발생장치의 정확한 전압에 의해 브라운관면의 단위눈금당 전압값을 정확히 교정해 두고 이것과 관측전압의 파형을 비교하여 전압값을 측정한다. ②시간측정: 스위프속도는 가로축의 단위길이당 시간으로 나타나므로 관측 파형상의 2점 간의 시간은 쉽게 측정할 수 있다. ③주파수 측정: 관측 파형의 1주기의 시간을 측정하면‚ 그 역수로 주파수를 구할 수 있다. 또 수평편향판에 다른 표준신호발생기로부터 이미 알고 있는 정확한 주파수의 사인파신호를 가하고 수직편향판에 피측사인파신호전압을 가하면 주파수의 비율 및 위상차에 의해 리사주그림이라고 하는 특정한 도형이 얻어지며‚ 이것을 이용해 주파수를 구할 수 있다. ④거리 측정: 전기 펄스를 방출하여 그 반사파가 돌아오는 시간을 관측하면 전파속도로부터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송전선로 고장점표정법(故障點標定法)이 있다.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