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고사리

추천0 조회수 82 다운로드 수 1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고사리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관다발식물 중에서 꽃이 피지 않고 포자(胞子)로 번식하는 종류 중 고사리강 식물 <일반적 형태 및 특징> 화석 고사리류에는 줄고사리·앙기오프테리스가 있는데‚ 줄고사리는 지중생의 덩이모양 또는 원기둥모양으로 분지한 전엽체를 만들고 균영양에 의해서 생육한다. 고사리는 몸은 줄기·잎·뿌리로 분화하고 큰잎을 가진다. 작은잎이 가지나 줄기에 생긴 가시모양의 돌기가 변형한 것인데 반해 큰잎은 가지 그 자체가 변형한 것이며‚ 변형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고생솔잎란강에서 볼 수 있는 가늘게 분지한 가지가 언뜻 보기에 고사리모양의 잎이 되고‚ 다시 석탄기의 고생고사리류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엽상지(葉狀枝)가 되어 그것이 잎새[葉身]를 형성하여 잎이 되었다고 보고 있다. 엽상지를 갖은 고생고사리류에서 포자낭이 작은 가지 끝에 1개가 붙는 것은 많으나‚ 현생의 고사리류에서는 잎의 가장자리나 뒷면에 포자낭군을 만들어 군생한다. 포자낭군은 막질의 포막(包幕)이나 포자낭 사이에 돋아나는 측사(側絲)에 의해 보호된다. 포자낭에는 벽이 한 세포층으로 되는 박낭(薄囊)과‚ 다세포층으로 되는 진낭(眞囊)이 있다. <참고문헌> 네이버 백과사전‚ 고생물학(이하영외 3인저)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