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한국 10 WON

추천0 조회수 100 다운로드 수 4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한국 10 WON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한국지폐 10 WON <일반적 형태 및 특징> 1962년에 발행된 지폐로 앞면에는 첨성대의 그림이 그려져 있고 뒷면에는 거북선의 그림이 그려져 있다. <세부사항> *첨성대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31호로 지정되었다.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에 소재하며 높이 9.17m‚ 밑지름 4.93m‚ 윗지름 2.85m이다. 밑에서부터 4.16m 되는 곳의 남쪽 허리에 한 변이 1m인 정사각형 문이 달려 있다. 모양은 원통형으로 남쪽 문에 사다리를 걸었던 자리가 있다. 30cm 높이의 돌 362개로 27단을 쌓아 만들었다. 내부는 제12단까지 흙이 차 있고‚ 제19단에서 제20단까지와 제25단에서 제26단까지의 두 곳에 정(井)자형 장대석(長?石)이 걸쳐 있는데 그 양끝이 밖으로 나가 있다. 제27단 내부의 반원(半圓)에는 판석(板石)이 있고‚ 맞은편에는 판목(板木)을 놓았던 곳으로 보이는 자리가 있다. 판석은 길이 156cm‚ 너비 60cm‚ 두께 24cm이다. 꼭대기에는 정자석(井字石)이 2단으로 짜여 있는데‚ 그 위에 관측기구를 놓았던 것으로 보인다. 혼천의(渾?儀)와 같은 관측기구를 정상에 설치하고 춘분 ·추분 ·동지 ·하지 등의 24절기를 별을 통하여 측정하였고‚ 정자석을 동서남북의 방위를 가리키는 기준으로 삼았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첨성대가 제단이었다는 학설도 있다.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신라 선덕여왕(善德??: 재위 632-647) 때 건립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거북선 임진왜란 직전에 이순신(李舜臣) 장군의 고안으로 건조된 세계 최초의 돌격용 철갑전선(鐵甲戰船)이다. 《난중일기(亂中日記)》에 따르면 거북선에 비치한 포(砲)를 처음 발사한 날은 임진년(壬辰年: 1592) 3월 27일이며‚ 처음 해전에 참가한 것은 장계(狀啓)에서 "5월 29일 사천해전(泗川涇戰)"이라 하였다. *대한민국 면적은 9만 9538㎢(남한)‚ 인구는 4792만 5000명(2003)이다. 통칭 한국이라고도 한다. 남북으로 길게 뻗은 반도와 3‚200여 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다. 북쪽은 압록강과 두만강을 건너 중국의 만주와 러시아의 연해주에 접하고‚ 동쪽과 남쪽은 동해와 남해를 건너 일본에 면하며‚ 서쪽은 서해를 사이에 두고 중국 본토에 면한다. 조선 전기인 1413년(태종 13) 전국이 행정구역상 처음으로 경기(京畿)‚ 충청(忠?)‚ 경상(慶尙)‚ 전라(全羅)‚ 강원(江原)‚ 황해(黃涇)‚ 함경(咸鏡)‚ 평안(平安)의 8도(道)로 나뉜 이래‚ 1896년(고종 33)에는 함경‚ 평안‚ 충청‚ 전라‚ 경상도가 각각 남 ·북으로 나뉘어 8도가 13도로 개편되었다. 8·15광복 이후 서울이 경기에서 분리되어 특별시가 되었고‚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이 경남‚ 경북‚ 경기‚ 전남‚ 충남‚ 경남에서 분리 ·승격‚ 직할시를 거쳐 광역시가 되었으며‚ 제주가 전남에서 분리‚ 도로 승격하였다. 2003년 현재 남한은 1특별시 6광역시 9도로 이루어져 있다. <참고문헌> 세계화폐박물관 홈페이지 / 두산동아백과사전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