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 이미지 유형

라이선스 유형

이미지

폴란드 1‚000 ZLOTY

추천0 조회수 242 다운로드 수 2 일반문의
  • 해당 공공저작물은 외부사이트에서 보유하고 있는 저작물로써, 원문보기 버튼 클릭 시 외부사이트로 이동됩니다. 외부사이트의 문제로 인하여 공공저작물로 연결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이트 바로가기 를 클릭하여 이동해주시기 바랍니다.
저작물명
폴란드 1‚000 ZLOTY
저작(권)자
저작자 미상 (저작물 2267374 건)
출처
이용조건
KOGL 출처표시,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새창열림)
공표년도
창작년도
2015-01-23
분류(장르)
사진
요약정보
<정의> 폴란드 1‚000 Zlotych <일반적 형태 및 특징> 1982년에 발행된 지폐로 앞면에는 코페르니쿠스 (Copernicus‚ Nicolaus)의 초상화가 그려져 있으며 뒷면에는 우주를 나타낸 듯 한 도형이 그려져 있다. <세부사항> *코페르니쿠스(Copernicus‚ Nicolaus‚ 1473-1543) 비수아강(江) 근처 토룬 출생. 10세에 아버지를 잃고 외삼촌인 바체르로데 신부 밑에서 자랐다. 1491년 신부가 되기 위해 입학한 크라코프대학에서 철학교수인 불제프스키에게서 수학과 천문학 강의를 들었다. 코페르니쿠스는 1496년에 외삼촌의 도움으로 이탈리아에 유학‚ 볼로냐대학에서 그리스어를 공부한 다음‚ 그리스 철학과 천문학을 공부하였다. 1500년에는 약 1년간 로마에 체류하며 수학 ·천문학에 관한 강연을 하였다. 이듬해에 귀국하여 다시 이탈리아 유학허가를 받아‚ 파도바대학에서 의학과 교회법을 익히고‚ 1506년 두 가지 학위를 받아 귀국하였다. 귀국 후‚ 외삼촌이 본당신부로 있는 하일스베르크에서 빈민들에게 의술을 베풀어 큰 명성을 얻었다. 1512년에 외삼촌이 죽자‚ 그 뒤를 이어 프라우엔부르크성당의 신부로 취임하였다. 그때부터 야간에 옥상의 망성대(望星臺)에서 스스로 만든 측각기(測角器)를 이용하여 천체관측을 시작하였다. 1516년 엘름란드교구 회계감사역 겸 알렌슈타인교회 평의원이 되어 전임하였고‚ 1520년 프라우엔부르크 대교구장으로 귀임하여 그곳에서 일생을 마쳤다. 그가 지동설(地動說)을 착안하고 그것을 확신하게 된 시기가 언제인지는 명확하지 않으나 그의 저서 《천체의 회전에 관하여 De revolutionibus orbium coelestium》(전4권)는 1525-1530년 사이에 집필된 것으로 추측되고 있으며‚ 다만 출판을 주저한 것은 종교적으로 이단자가 된다는 당시의 상황을 고려한 때문일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그는 〈천체의 운동과 그 배열에 관한 주해서〉라는 논문을 자비로 출판하여 일부 천문학자들에게 배포하였다. 그 가운데 1부가 교황 클레멘트 7세에게도 전달되어‚ 1536년에는 쇤베르크주교로부터 본책의 출판을 권유받기도 하였다. 그가 본책 출판의 뜻을 굳힌 직접적인 동기는 독일의 젊은 수학자 G.J.레티쿠스의 권유 때문이었다. 원고가 레티쿠스의 손을 거쳐 세계 최초의 뉘른베르크 활판인쇄소로 넘어간 것은 1542년이며‚ 이 책의 인쇄견본이 코페르니쿠스에게 전달된 것은 이듬해 5월 24일 그가 임종하는 자리에서였다고 한다. 그러나 그의 지동설에서 유의하여야 할 점은 그가 생각한 태양계의 모습이 현재 우리가 생각하는 태양계와는 다르다는 점(그는 행성의 궤도를 원으로 보고‚ 운동의 불규칙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周轉圓을 사용했다)과‚ 지구의 공전과 자전의 증거를 하나도 밝혀내지 못하였다는 점이다. *폴란드 면적은 31만 2685㎢‚ 인구는 3862만 3000명(2003)이다. 정식명칭은 폴란드공화국(Polish Republic)이다. 수도는 바르샤바이며 폴란드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있다. 북동쪽으로 러시아연방‚ 동쪽으로 리투아니아‚ 벨로루시‚ 우크라이나‚ 남쪽으로 슬로바키아‚ 체코‚ 서쪽으로 독일에 접하며‚ 북쪽은 발트해에 면한다. 남북길이 649km‚ 동서길이 689km로 거의 4각형의 국토를 이룬다. <참고문헌> 세계화폐박물관 홈페이지 / 두산동아백과사전
저작물 파일 유형
저작물 속성
1 차 저작물
공동저작자
1유형
수집연계 URL
http://www.emuseum.go.kr
분류(장르)
사진
원문제공
원문URL

맨 위로